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

정보

by 드림세르파 2024. 5. 8. 10:30

본문

필요경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필요경비는 해당 과세기간에 총수입금액에 대응하는 비용으로서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통상적인 것의 합계액을 말합니다.

1. 필요경비 예시

필요경비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해당 과세기간 전의 총수입금액에 대응하는 비용으로서 그 과세기간에 확정된 것에 대해서는 그 과세기간 전에 필요경비로 계상하지 아니한 것만 그 과세기간의 필요경비로 봅니다.

 

▻ 사업용 자산에 대한 비용

① 사업용 자산(그 사업에 속하는 일부 유휴시설을 포함)의 현상유지를 위한 수선비

② 사업용 자산에 대한 임차료

③ 사업용 자산의 손해보험료

 

 

▻ 사업과 관련이 있는 제세공과금

▻ 총수입금액을 얻기 위하여 직접 사용된 부채에 대한 지급이자

▻ 사업용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의 감가상각비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

2. 추계과세 시 필요경비 및 소득금액 계산

추계과세 시 필요경비 및 소득금액 계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장부나 그 밖의 증명서류에 의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할 수 없는 경우 소득금액을 추계결정합니다.

 

▻ 추계결정 사유

①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필요한 장부와 증빙서류가 없거나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동종업종 사업자의 신고 내용 등에 비추어 수입금액 및 주요 경비 등 중요한 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인 경우

② 기장의 내용이 시설 규모, 종업원 수, 원자재, 상품 또는 제품의 시가, 각종 요금 등에 비추어 허위임이 명백한 경우

③ 기장의 내용이 원자재 사용량, 전력 사용량 기타 조업 상황에 비추어 허위임이 명백한 경우

 

3. 주택 임대업의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적용 기준

주택 임대업의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적용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 직전 과세기간 수입금액(2022년) 2천4백만 원 이상이면 기준경비율, 2천4백만 원 미만이면 단순경비율을 적용합니다.

▻ 해당 과세기간 수입금액(2023년) 7천5백만 원 이상이면 기준경비율, 7천5백만 원 미만이면 단순경비율을 적용합니다.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기

4. 분리과세 시 필요경비 및 소득금액 계산

분리과세 시 필요경비 및 소득금액 계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 원 이하로 분리과세를 선택하는 경우 수입금액에 50% 또는 60%의 필요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