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1. 3. 10:45

본문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턱 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때 턱관절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의 쿠션역할을 합니다.

 

 

턱관절 장애란 저작근 및 턱관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을 포함하는 용어로 턱관절에서 잡음이 들리거나 통증이 있고, 입을 열고 닫는 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를 말합니다.

 

 

1. 턱관절 장애의 원인

 

턱관절 장애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나쁜 습관, 외상, 교합 부조화, 심리적 요인 등이 원인입니다. 턱관절 장애는 단단한 음식을 오래 씹거나 이를 악무는 습관, 앞니로 손톱이나 다른 물체를 물어뜯는 행위, 이를 갈며 자는 잠버릇,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입을 너무 자주 크게 벌리는 행위 등으로 발생합니다. 턱 괴기, 옆으로 누워 자는 수면자세, 교통사고나 상해에 의한 안면외상과 부정교합으로 인한 교합 부조화, 스트레스, 불안, 우울, 긴장, 신경과민 등의 심리적 요인, 만성 진동, 소음 등의 환경적 요인과 법적 소송, 가정 및 직장에서의 불화 등 사회적 요인도 턱관절 장애에 영향을 줍니다.

 

 

2. 턱관절 장애의 증상

턱관절 장애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입을 벌릴 때 귀, 뺨, 관자놀이 등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딱딱 소리가 납니다. 심하면 입을 벌릴 수 없거나 갑자기 입을 다물 수 없는 장애가 발생합니다. 하품을 하거나 입을 크게 벌리는 경우 입이 잘 안 다물어지고 편두통이 느껴지고 집중력이 저하됩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만성피로가 가시질 않고, 현기증, 귀울림(이명), 눈물, 지각마비, 입맛의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턱관절 장애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 턱관절에 관절염이 발생하고 턱의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입을 못 벌릴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이 불편하면 식사를 제대로 하기 어려워 소화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3. 턱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

턱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턱관절 장애는 어금니 맞물림을 확인하는 교합검사, 관절상태나 뼈조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방사선 사진, MRI, 근육 긴장도를 평가하는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턱관절은 치료할 수 있지만 턱관절에서 나는 잡음은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의 종류에는 약물 치료, 물리치료, 행동 요법, 운동 처방 등이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따뜻한 찜질, 초음파, 레이저 치료 등이 있습니다. 교합 장치 치료는 턱이 안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입안에 장치를 끼는 것입니다. 약물 치료는 진통 소염제와 근이완제를 처방함으로써 치료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턱관절 장애 물리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혀끝을 입천장 전방부(윗치아 앞니 뒷면)에 접촉시킵니다.

② 혀끝이 접촉된 상태에서 천천히 입을 벌립니다. 이때 혀끝이 입천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③ 거울을 보면서 가능한 입이 똑바로 벌어지도록 합니다. 이때 비대칭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④ 입을 다물어도 가능한 입이 똑바로 다물어 지도록 합니다. 이때 비대칭으로 다물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⑤ 다음으로 혀끝을 입천장 후방부에 접촉시킨 후 천천히 입을 벌리고 다무는 운동을 합니다. 이 운동을 하루 3번 3분씩 아주 천천히 시행합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4. 턱관절 장애의 예방

턱관절 장애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카페인, 소금, 질산염, 알코올, 타이라 민 함유 음식물의 섭취를 삼가고,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하도록 합니다.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장시간 긴장 상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치아사이가 늘 떨어져 있도록 하는 습관을 갖도록 합니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하면 좋고 무리한 턱관절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적절한 수면을 위해 낮잠을 피하고, 낮 시간 동안 적절한 활동을 하여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합니다.

 

 

이상으로 턱관절 장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5
위암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4
유방암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2
족저근막염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1
간암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3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