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위암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1. 4. 10:17

본문

위암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위암이란 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하며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며 정상적인 위 조직을 침습하여 파괴하고 간이나 폐 등 다른 부위로 전이하여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하는 한국인에게 가장 흔한 암입니다.

 

 

 

위는 식도에 연결된 주머니 형태의 장기로 위벽은 안쪽으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위암의 원인

위암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전적 배경과 음식물, 흡연, 약제, 환경 등이 후천적 요인으로 구분되는 데 유전적 요인은 분명하지 않으며 음식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다한 염분 섭취, 가공식품 섭취, 헬리코박터균 등의 원인으로 위암이 발생합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은 5g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에 섭취하는 소금양은 평균 20g으로 권장량의 4배나 많이 섭취하고 있는 셈입니다.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소금의 경우, 일부는 몸 안에서 아질산염으로 바뀌면서 위벽에 상처를 내고 음식물의 단백질과 섞이면서 강력한 발암물질인 니트로조아민이 발생되어 위암을 유발합니다.

 

 

 

 

출생 당시에는 위장에 헬리코박터균이 없는 상태로 태어나지만, 집단생활을 하면서 타인의 타액으로부터 옮게 됩니다. 어머니가 유아에게 먹여주는 습관, 술잔을 여러 사람이 돌리는 행위, 찌개를 여러 명이 함께 떠먹는 행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이 위 점막을 파고들어 독성물질을 분비해 위염을 일으키고 염증이 지속되면 위 세포가 파괴되어서 위암을 유발하는 전암병변인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암의 증상 및 예방위암의 증상 및 예방
위암의 증상 및 예방

 

 

2. 위암의 증상

위암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암이 진행함에 따라 상복부 불쾌감, 팽만감, 동통, 소화불량,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 등의 진행성 전신증상이 나타납니다. 후기 위암으로 진행될수록 유문부 막힘에 의한 구토, 출혈로 인한 토혈이나 혈변, 음식이 식도 내에서 내려가다가 지체되거나 중간에 걸려 내려가지 않는 상태 등의 증상이 있고, 복부 종괴, 복강 내 림프절이 손으로 만져지거나 간비대가 옵니다.

 

3. 위암의 진단 및 치료

위암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위암은 증상과 진찰만으로 진단하기 어려우므로 상부위장관검사라는 X선 촬영법과 위내시경 검사로 진단을 합니다. 위암의 치료는 종양 자체뿐 아니라 암이 퍼져 나갈 수 있는 조직을 충분히 절제하는 근치적 절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최근 위암 조기 진단이 증가하고 위암의 병태생리 등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 수술 후 평균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나은 삶을 위한 다양한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위암의 증상 및 예방위암의 증상 및 예방
위암의 증상 및 예방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복강경 수술, 기능보존 수술, 다양한 재건술 등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고, 진행 위암은 수술 전 화학요법, 복강 내 항암요법, 전이 병소를 포함한 광범위한 절제술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4. 위암의 예방

위암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적으로 내시경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암은 음식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데 짠 음식, 가공육류, 불에 탄 음식의 섭취를 피하여야 하며 비타민은 위암 예방을 막는 강력한 방어효과가 있으므로 이들 영양소가 포함된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충분히 먹는 것은 위암의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위암의 증상 및 예방위암의 증상 및 예방
위암의 증상 및 예방

 

40세 이상의 성인은 1-2년에 한 번 위암검사를 받아야 하고, 30대도 소화기 증상이 잦은 경우는 검진을 받는 것을 권합니다. 금연을 실천하고 가족력이 있거나 40세 이상, 흡연자 등은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이상으로 위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맥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6
녹내장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5
턱관절 장애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3
유방암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2
족저근막염의 증상 및 예방  (0) 2023.11.0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