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부인대손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측부인대는 무릎이 안쪽으로 꺾이는 것을 막아주는 외부 측부인대와 무릎이 바깥쪽으로 꺾이는 것을 막아주는 내측 측부인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인대들이 외상으로 인해 찢어지는 것을 측부인대손상이라고 합니다.
측부인대손상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운동 중 부상이나 교통사고, 걷다가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데 무릎의 바깥쪽 외측면을 직접 가격 당하거나 무릎 관절이 안쪽으로 꺾이면서 파열이 발생합니다. 측부인대는 외상으로 인한 강한 충격과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가장 많이 손상되며 무릎이 X자 형태로 꺾이며 발생하는 것이 내측부 손상, 무릎이 O자 모양으로 꺾이는 것이 외측부 손상입니다. 측부인대가 손상되면 무릎이 불안정해지며 통증이 발생하고 퇴행성 관절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측부인대손상 단계 및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⓵ 경미한 손상으로 인대에 긴장은 있으나 무릎 관절의 안정성은 유지됩니다.
⓶ 부분적 파열로 인해 손상 부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⓷ 완전 파열로 무릎 관절에 무릎 불안정성(무릎 꺾임)이 나타납니다.
측부인대손상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상 진찰검사와 근골격계 초음파, MRI 검사로 진단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로 냉찜질, 보조기, 물리치료가 있습니다. 냉찜질은 치유 과정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얼음을 손상 부위에 한 시간 정도 간격으로 15분에서 20분 정도 시행합니다. 보조기는 무릎을 보호하고 손상으로 인한 2차 손상을 예방합니다. 주사 치료는 연골을 재생하거나 보호하는 약제를 관절 내에 주입합니다.
도수치료는 연골을 손상시킬 수 있는 잘못된 자세의 교정, 허벅지 근력 강화를 합니다. 체외충격파는 약해진 힘줄 인대 연골조직의 재생과 통증을 완화합니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부분 파열의 정도가 심할 경우 인대재건수술을 시행하여 인대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고 관절의 정상 기능을 유지하며, 향후 외상성 관절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봉합술은 직접 절개하여 터진 부위를 직접 꿰매는 방법입니다. 대퇴부착부 혹은 경골부착부의 손상이나 다른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 시행하며, 직접 실로 꿰매거나 나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측부인대손상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내측부 인대파열 부상이 많은 겨울철 스키나 스노보드 타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키는 두 팔을 앞으로 뻗고 몸을 약간 돌며 옆으로 넘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눈 위에 주저앉은 후에도 계속 아래로 미끄러지므로 팔을 들어 손목이 다치지 않도록 합니다. 스노보드는 앞쪽으로 넘어질 경우, 얼굴을 들고 양팔을 뻗어 가슴부터 전방으로 미끄러집니다. 뒤쪽으로 넘어질 경우, 살이 두터운 엉덩이부터 땅에 닿도록 하고, 머리나 후두부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턱을 당겨 등을 둥글게 합니다. 넘어질 때 반드시 무릎을 굽히고 보드를 눈 표면으로부터 가볍게 들어 올려야 합니다. 손가락을 펴는 것보다 주먹을 쥔 채로 넘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뚜렛증후군(틱장애) 알아보기 (0) | 2024.02.21 |
---|---|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0) | 2024.02.20 |
성인 틱장애가 급증하고 있어요!! (0) | 2024.02.18 |
관절와순 파열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2.17 |
갑자기 생긴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