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인 틱장애가 급증하고 있어요!!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18. 20:07

본문

성인 틱장애 급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틱장애 발생률이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성인틱장애 발생률이 급증했으며, 2020년 틱장애 진단환자 10명 중 4명은 성인으로 나타났습니다.

 

1. 틱장애의 원인

틱장애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소아, 청소년에게 흔히 나타나는 틱장애는 특별한 원인 없이 이상 행동이나 소리를 빠르게 반복하는 신경발달 장애입니다. 성인 틱장애의 급증 이유는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추정됩니다. 틱장애 발생률이 2배 이상 늘어난 원인은 과거 사회적 낙인으로 여겨졌던 정신질환이 드라마 등 미디어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자주 노출되고, 그에 따라 정신과 내원 및 신규 진단건수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틱장애의 증상

틱장애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운동틱으로 눈 깜빡임, 얼굴 찡그림, 어깨 들썩임, 머리 흔들기, 입내 밀기가 있습니다. 복합 운동틱으로 자신을 때리는 행동, 제자리에서 뛰어오르기, 다른 사람이나 물건을 만지기, 물건을 던지는 행동, 손의 냄새 맡기, 남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기 등이 있습니다. 단순 음성틱으로 킁킁거리기, 가래 뱉는 소리, 빠는 소리 내기, 쉬 소리 내기, 침 뱉는 소리 내기 등이 있습니다.

 

성인 틱장애 급증성인 틱장애 급증
성인 틱장애 급증

 

복합 음성틱으로 상황에 관계없는 단어를 말하고, 욕설, 남의 일을 따라 하기 등이 있습니다.

국내 2~19세 인구 유병률은 1 천명당 2.6명이며, 20세 이상 성인 틱장애 유병률은 0.008~0.024%에 그치고 있습니다. 전체 인구 10만 명당 틱장애 발생률은 과거 10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발생률 증가폭은 전반적으로 소아 청소년이 성인보다 높습니다. 성인 틱장애는 어린 시절부터 틱이 지속해서 만성화됐거나 스트레스, 과도한 긴장, 사회환경 등 복합적인 문제 탓에 치료가 더 까다롭습니다.

 

3. 틱장애의 진단 및 치료

틱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틱장애 진단 1년 전 정신과적 기저질환 발생률을 보면 소아 청소년 환자는 10명 중 2명 이상이 ADHD를 동반합니다. 성인 환자는 10명 중 4명 이상이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를 동반합니다. 틱장애는 주로 소아정신과 영역이었으나 최근 신규 틱장애 환자 40% 이상이 성인으로 확인되어 일반 정신과 영역에서 성인 틱장애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성인 틱장애 급증성인 틱장애 급증
성인 틱장애 급증

 

 

틱증상이 가볍고 자주 나타나지 않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지켜보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서 놀림을 당하거나 스스로 자존감이 낮아지는 등의 모습을 보이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틱이 스트레스에 의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스트레스가 심할 때 틱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조절해 줄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은 조절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틱 증상을 약물 치료를 통해서 줄여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으면 약물치료를 합니다. 틱 증상 자체는 약물에 대해 반응이 좋은 편입니다.

 

4. 틱장애 예방

틱장애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틱 증상은 일부러 혹은 고의로 증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고, 뇌의 이상으로 발생되는 병이므로 나무라거나 비난하기, 놀리기, 지적하기 등은 피하고 초기에 가장 효과가 좋은 대책은 증상을 무시하고 증상에 대해 관심을 주지 않는 것입니다. 틱 증상이 있다고 해서 정상적인 생활을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의 호전과 악화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말고 긍정적인 마음과 여유 있는 마음으로 장기간 관리한다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