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20. 19:57

본문

십자인대 파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무릎관절에는 전방 십자인대, 후방 십자인대, 내측부인대 및 외측부인 대라는 4가지 인대가 있습니다.

 

 

이는 전후방 및 내외 측의 안정성을 지켜줍니다. 십자인대손상은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해 십자인대가 찢어지거나 파열된 상태를 말합니다.

 

 

1. 십자인대손상의 원인

십자인대손상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십자인대손상은 대부분 운동 중 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외부충격에 의해 무릎관절이 뒤틀리며 안쪽, 바깥쪽, 앞쪽으로 심하게 꺾일 때 십자인대가 손상됩니다. 주로 축구나 스키 등의 운동을 하는 중에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전환할 때, 상대방 선수와 충돌 시, 점프 후 착지할 때, 교통사고 등으로 발생합니다.

 

2. 십자인대손상의 증상

십자인대손상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십자인대가 부분 파열되었을 때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습니다. 무릎 내부에서 인대가 뚝하고 끊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통증으로 보행이 불편하기도 합니다. 무릎 내 관절에 출혈이 생기고, 부종과 무릎 주위에 검푸른 멍이 생깁니다. 무릎의 안정감이 떨어져서 서 있거나 발을 내디딜 때 무릎이 지탱하지 못하고 갑자기 구부러집니다.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3. 십자인대손상의 진단 및 치료

십자인대손상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십자인대손상은 의사가 무릎관절을 반대 측 무릎과 비교하면서 무릎검사를 시행합니다. 무릎관절의 스트레스 x-ray 검사, 자기 공명영상 MRI 촬영으로 진단합니다. 십자인대가 파열된 초기에는 관절의 안정 또는 휴식을 취하며 냉찜질을 합니다. 압박붕대를 하고, 다친 다리를 심장부위보다 올려서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십자인대가 부분 파열되고 불안정성이 심하지 않으면 근력강화훈련, 보조기 착용, 석고 고정 등의 보존적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전방 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되고 불안정성이 심하면 십자인대 재건 수술을 시행합니다. 환자의 슬개건, 반건양건, 박건, 기증받은 아킬레스건, 슬개건으로 십자인대 이식술을 시행합니다.

 

 

4. 십자인대손상의 예방

십자인대손상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에는 사람들 대부분이 활동량이 부족하고 운동량이 적어져서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고 경직된 상태가 되므로 경직된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지 않고 스포츠 활동을 할 경우 관절과 근육에 손상을 입게 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스포츠 운동 중 무릎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에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관절관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고, 운동할 때에는 무리한 점프와 방향전환을 자제하고,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십자인대 파열 알아보기

 

평소에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무릎관절이 건강한 사람들이 집에서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은 하프스쾃입니다. 양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무릎을 30~40도 구부린 자세로 10~15초 유지합니다, 이러한 동작을 10회씩 적당한 휴식과 함께 3회 반복하며, 자세유지가 어려운 경우 벽에 기대어하면 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