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와순 파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와순은 어깨 관절을 이루는 뼈 중에서 견갑골의 관절과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질의 연골을 말합니다.
관절와순은 팔에 있는 이두박근의 장두건과 연결되어 있고, 무릎 관절의 반월상 연골처럼 뼈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손상되기 쉽습니다. 연골이 찢어지는 부위에 따라 진단이 달라지는데, 위쪽 관절와순이 이두박근의 장두건과 함께 앞쪽부터 뒤쪽까지 뼈에서 떨어지는 것을 상부관절와순 파열이라고 합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순 상부의 압박, 견인, 어깨관절 내회전 결핍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야구선수 등의 운동선수에게서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운동 열풍과 함께 30대 미만의 젊은 남성에게서 흔히 발생합니다. 또 낙상과 같은 사고에서 발생할 수 있고, 어깨를 부딪쳐 다치거나 팔을 짚고 넘어진다거나, 팔을 위로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등 일상생활 중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통증이 생기고, 어깨가 무겁고 불안정하며, 심하면 어깨가 빠지는 느낌이 듭니다. 팔을 위로 올리거나 뒤로 젖힐 때, 옷을 머리 위로 입고 벗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심한 통증이 있습니다. 팔을 머리 위로 들 때 툭한 소리가 나거나 어깨가 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30~40대의 경우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과 연관되어 전하방 관절와순 파열이 동반하고, 50대 이상의 경우 회전근개 파열이나 어깨 관절의 관절염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와순 파열은 독특한 증상이 없고 오십견이나 회전근개 질환과 같은 다른 어깨 관절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진단이 어렵습니다. 일반 MRI로는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관절 내 조영제를 주입하고 촬영하는 MRI검사를 합니다. 근절 와 순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근력 강화 운동이나 자세교정, 물리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를 우선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 초기에는 급성기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의 무리한 사용을 금지합니다.
어깨 관절 스트레칭 운동을 시행하고, 이후 점진적으로 회전근개 강화운동, 견갑골 주변 근육강화 운동 등과 같은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방법은 관절와순의 손상정도에 따라 다르고, 찢어진 관절와순을 다듬어 주는 방법부터 원래대로 봉합하는 수술까지 다양합니다. 관절경을 삽입해 관절의 상태를 보면서 치료하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가장 많이 시행합니다. 절개부위가 작고 출혈이 거의 없어 회복이 빠르고 수술 후에는 팔의 운동을 제한하는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며, 꾸준한 재활 운동을 시행하면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합니다.
관절와순 파열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평소에 관절와순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후로 수건이나 밴드를 사용하여 어깨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을 생활화하며 관절의 운동 범위, 유연성, 근력을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다면 어깨 관절을 이루는 회전근개, 삼각근, 상완이두근 등의 근육도 함께 운동해야 합니다.
측부인대손상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2.19 |
---|---|
성인 틱장애가 급증하고 있어요!! (0) | 2024.02.18 |
갑자기 생긴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0) | 2024.02.16 |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0) | 2024.02.14 |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