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갑자기 생긴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16. 16:57

본문

갑자기 어깨가 아픈 통증이 느껴지는 어깨탈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팔의 위쪽 뼈인 상완골이 어깨관절에서 이탈된 것으로 어깨나 팔 부위에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 쉽게 발생합니다.

 

 

흔히 팔이 빠졌다고 표현됩니다. 특히 어깨관절은 신체의 관절 중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운동범위도 넓은 만큼 어깨탈골이 자주 발생하는 편입니다.

 

 

 

1. 어깨탈골의 원인

어깨탈골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깨탈골은 주로 격렬한 움직임을 하거나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을 때 어깨탈골이 발생합니다. 특히 공을 던질 때처럼 팔을 강하게 뻗거나 어딘가에 매달리는 동작을 할 때, 넘어지면서 손을 바닥으로 짚어 팔이 크게 밀리는 부상 등이 어깨탈골의 원인입니다.

 

2. 어깨탈골의 증상

어깨탈골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깨탈골을 겪게 된다면 팔이 빠지는 느낌이 들고, 팔이 아래로 쳐지면서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탈골 부위가 붓거나 멍이 들고, 손 저림 현상도 동반됩니다. 탈골이 되었을 때 주변 신경이나 혈관이 함께 손상된 경우에는 해당 어깨 아래에 있는 팔에 마비가 오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등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어깨탈골이 발생하면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관절을 제 위치로 맞추어야 합니다. 무리하게 맞출 경우 어깨 주변의 혈관이나 신경, 인대와 같은 구조물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니 의료진을 통한 교정이 이뤄져야 합니다.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3. 어깨탈골의 진단 및 치료

어깨탈골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습관성 어깨탈골로 인해 팔이 빠지는 증상이 반복되면 증상이 발생할 때마다 어깨관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어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제때 치료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은 어깨탈골 초기에 약물치료, 보조기,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로 손상된 관절낭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관성일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 등 수술적 치료를 더 많이 시행하게 됩니다. 수술은 어깨관절이 손상된 양상에 따라 각각의 수술방식이 적용되는 데 습관성 탈골 환자 중에서도 비외상성 습관성 탈골 환자는 회전근개 강화 운동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습관성 탈골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관절와의 전하방 연골 손상 혹은 골편의 결손이 큰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4. 어깨탈골의 예방

어깨탈골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최초의 탈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던지는 동작이나 접촉이 많은 스포츠 등에서 어깨에 무리나 충격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어깨탈골 시 환자 본인이나 주변인들이 어깨를 맞추려는 시도는 혈관 및 신경, 인대 등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을 통해 진행하여야 합니다. 전문의가 지시한 기간 동안 보조기 착용 등을 성실히 시행하고, 재활을 통해 어깨강화운동 등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