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골과 연골의 염증을 말합니다.
공 던지기를 하는 젊은이들에게 나타나는 주관절통증은 야구팔꿈치라고 하는데 이것은 팔꿈치의 내측부와 외측부의 손상이 더 흔하며 주로 내상과 성장판의 염증이나 내상과의 견열골절로 나타납니다. 팔꿈치 외측부의 손상은 소두의 박리성 골연골염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매우 드물지만 심하고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발병률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로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 남자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반복적인 외상, 염증, 혈관이상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소아 및 청소년 운동선수에게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반복적인 외상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판단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무릎에서 뚝한 소리가 나고 통증이 심합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보행 시 무릎에 통증이 심하고 무릎관절이 붓거나 뻣뻣합니다. 관절의 잠김 현상으로 인해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MRI 및 엑스레이를 통해서 안정성 및 병기를 판단하고 환자의 나이와 증상을 고려해서 치료방향을 결정합니다. 활동량만 조절되면 수술 없이 완치되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빨리 수술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치료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연골 손상이 심하지 않다면 붓기와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합니다. 무릎 관절에 체중 부하가 적게 가도록 부목이나 깁스로 고정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병변의 상태에 따라 다발성 천공술, 뼈를 다시 붙이는 수술, 뼈를 떼어내고 빈자리를 새로 재생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세포치료를 병행합니다.
박리성 골연골염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활동 전 근육에 자극을 주는 적절한 스트레칭을 합니다. 스트레칭은 근육, 뼈와 근육의 연결부위인 건, 인대 등을 늘려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과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하기 때문입니다. 관절의 힘을 기르는 근력강화운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부상 시 작은 통증이라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갑자기 생긴 어깨통증과 어깨탈골 (0) | 2024.02.16 |
---|---|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0) | 2024.02.14 |
소리없이 찾아오는 담도암 알아보기 (0) | 2024.02.13 |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관절 유리체) 알아보기 (0) | 2024.02.12 |
갑자기 찾아오는 요추염좌 알아보기 (0)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