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관절 유리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12. 20:14

본문

10대도 겪는 관절통증인 관절 내 유리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내 유리체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연골이나 골조직 등의 파손된 조직이 관절 내에 있는 것을 말하며 모든 관절에 생길 수 있습니다.

 

 

유리체는 관절 내에서 떠돌아다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동통, 종창, 관절운동 제한까지 다양한 증상을 초래합니다. 주로 아동 및 청소년기에 자주 발생하고, 남학생에게 더 자주 발생합니다.

 

 

 

1. 관절 내 유리체의 원인

관절 내 유리체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뼈 조각이나 연골 조각이 제 위치에서 떨어져 관절 내에 떠돌아다니게 된 것을 유리체라고 하고,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심한 동통, 종창 및 관절운동의 제한까지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개 접선형 골연골 골절에 의한 골연골 조직의 파편이 가장 흔하며, 박리성 골연골염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 연골 편이나 반월판 조각, 섬유조직, 관절 내 종양 등의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간혹 유리체가 관절의 활액막에 붙어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면 보행 시마다 깜짝 놀랄 만큼 날카로운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2. 관절 내 유리체의 증상

관절 내 유리체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내 유리체의 증상으로는 알 수 없는 무릎의 통증 및 부종이 있거나 수시로 물이 차고, 무릎 주위의 근육이 약화되어 힘이 떨어지고, 관절이 불안정하다고 느끼게 되며, 관절 내 염증이 유발되어 관절이 붓고 아파서 관절운동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관절 주위의 근육 약화, 관절 불안정성, 관절 내 염증 소견 및 관절 종창이 발생합니다. 유리체는 주로 관절 내를 자유로이 돌아다니다가 활액막에 붙어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심한 동통, 종창 및 관절운동제한 등 다양한 증상이 초래됩니다.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3. 관절 내 유리체의 진단 및 치료

관절 내 유리체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절내관절 내 유리체는 병력, X-ray 검사, 관절조영술, 관절경 검사 등에 의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치료는 유리체가 관절의 한 곳에 끼어있는 경우 도수치료가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및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유리체를 직접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4. 관절 내 유리체의 예방

관절 내 유리체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등산, 구기종목 등을 하기 전에 충분히 준비운동을 하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강도로 무리하지 않도록 해서 외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무리하게 무릎관절 운동을 하여 관절에 부담을 주거나, 추운 날씨에 경직된 관절 상태로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10대도 겪는 관절 통증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