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3. 31. 13:07

본문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특별하게 식사량이 늘어난 것도 아닌데 중년이 되면 갑자기 살이 붙는 경험을 합니다.

50세의 체중이 젊은 시절보다 평균 15kg 더 나간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1. 중년 나잇살 원인

중년 나잇살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노화로 인해 기초대사량이 저하되고 근육량과 활동량이 감소하여 같은 양의 식사를 하더라도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고 몸 안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2. 중년 비만의 핵심

중년 비만의 핵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아몬드 크기 만한 뇌의 시상하부는 신진대사와 식욕을 조절하는 뇌 영역으로 대뇌 안쪽 좌우에 나란히 있는 시상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시상하부 뉴런 말단에 더듬이처럼 나 있는 일차섬모가 있는 데 이것은 영양과잉을 감지하고 신진대사와 식욕을 조절해 비만을 예방하는 멜라노코르틴 4 수용체라는 단백질입니다.

모든 세포에는 섬모가 있는데, 뉴런에는 1개씩의 일차섬모가 있습니다. 생쥐 실험결과 나이가 들수록 일차 섬모가 짧아지면서 이 수용체의 기능이 약해지고, 이것이 는 체중증가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일차섬모가 비만에 관여한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지만 일차섬모의 길이가 나이가 들면서 짧아지는 것을 처음 확인한 것입니다.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3. 뉴런의 섬모 축소

뉴런의 섬모 축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지방 식단을 섭취하면 섬모는 더 빠른 속도로 짧아지고, 열량이 적은 식단을 섭취하면 섬모는 느린 속도로 짧아집니다. 나이가 들면서 사라졌던 섬모가 2개월 정도 열량을 줄인 식단을 섭취한 뒤 다시 나타납니다.

 

4. 비만의 악순환

비만의 악순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렙틴은 식욕을 떨어뜨리는 호르몬이지만 섬모가 짧아지면 렙틴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식욕이 전혀 떨어지지 않습니다. 렙틴 저항성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비만 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지방조직이 렙틴을 과도하게 분비해 포식 신호분자인 멜라노코르틴의 작용을 만성화하여 섬모길이 단축을 촉진해 멜라노코르틴이 제 기능을 못하도록 하여 비만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입니다.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5. 비만 예방

비만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열량을 줄인 적절한 식습관으로 섬모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면 나이가 들어도 뇌의 항비만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꾸준한 운동과 식사조절로 비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