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 질환 예방 관리 4단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뇌혈관 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입니다.
가계도 그리기 가족끼리는 특정 질병에 감수성이 높은 유전인자와 생활습관을 공유합니다.
부모, 형제자매, 자녀, 조부모, 사촌, 조카 등을 구성원으로 하는 가계도를 그립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심근병증, 심부전, 대동맥류, 뇌졸중,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 관련 질환을 기록합니다. 맥박조정장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으로 치료합니다. 사망 나이와 원인 등을 파악합니다.
내 위험 요소 파악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병, 흡연, 신체 활동 부족, 과체중. 비만 등을 체크해서 본인에게 해당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건강 행동 실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숫자를 알고, 가족력을 가지고 건강 검진 결과를 상담합니다.
위험 점수를 평가하여 관리 및 치료를 시행합니다. 일상에서 신체 활동을 늘리고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전조 증상 알기 부모 형제자매 중 50세 전에 돌연 심장 사한 가족구성원이 있으면 본인의 심장병, 심장마비, 뇌졸중 위험이 더 커집니다.
이른 나이의 돌연사는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관련 질환이 있었음에도 자각하지 못하거나 관리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가슴 중심이 뻐근하게 아프고 누르는 느낌, 심장이 매우 빨리 뛰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증상, 가슴 중앙부에서 어깨, 목, 팔로 전파되는 통증, 머리가 빈 느낌, 식은땀, 호흡곤란 동반한 어지럼증, 지속되는 어지럼증으로 인한 실신 등의 전조 증상을 숙지하고 집이나 직장 주변의 응급실을 파악해서 응급상황에 대비합니다.
손목이 찌릿하고 손이 저린 증상 (0) | 2024.04.04 |
---|---|
수족냉증 알아보기 (0) | 2024.04.03 |
늙지않는 사람들이 먹는 녹색채소 (0) | 2024.04.01 |
중년 나잇살 돌파구 찾기 (0) | 2024.03.31 |
혈당 관리중 중요한 식사요법 4가지 (0)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