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1. 19. 20:41

본문

요로결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이란 소변이 만들어지고 흐르는 길에 돌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소변은 신장에서 만들어져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흐르게 되는데, 요로결석에 의해 소변의 흐름이 막히게 되면 심한 통증이나 감염, 신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요로결석의 원인

 

요로결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은 유전적 요인, 식이습관, 생활습관, 수술병력, 요로감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소변 내 특정 물질이 과포화 상태가 된 후 결정이 생기고, 이것이 응집되어 커지면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 결석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는 옆구리 통증, 요로감염, 신우신염 등의 증상으로 고통받으며, 신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요로결석의 증상

 

요로결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의 증상은 결석의 크기, 위치, 요로 폐색의 정도, 감염 등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옆구리 통증은 요로결석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진통제로도 없어지지 않는 심한 통증이 한쪽 또는 양쪽 허리에 나타납니다. 통증은 질 하복부나 고환 쪽으로 뻗칠 수 있습니다. 신장결석이나 방광결석의 경우에는 옆구리 통증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요관 결석의 경우 요의 흐름이 막히면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의 통증은 맹장염과 비슷하여 맹장염으로도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 소변이 빨갛게 보이고, 소화가 잘 안 되거나 구역질,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3. 요로결석의 진단 및 치료

요로결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은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신체검진, 소변검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요관 결석이 의심되는 환자는 등 쪽 부위를 살살 두드리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요로감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소변검사 상 백혈구가 증가한 농뇨와 세균뇨가 나타납니다. 요로결석의 치료방법으로는 우선 결석이 자연배출되도록 기다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석의 크기가 5mm 미만일 경우, 수분을 다량 섭취하고, 진통제를 투여하면서 줄넘기 등의 운동을 실시하며, 정기적으로 방사선을 촬영하여 결석의 자연 배출 여부를 확인합니다.

 

 

요로결석으로 인해 요관 폐색이 발생하고 요로 감염이 동반되어 열이 나거나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와 신장이 하나인 요로결석의 경우에는 응급으로 요로 전환술을 시행합니다. 몸 밖에서 충격파를 주어 결석을 파쇄하여 자연 배출되도록 유도합니다. 요도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고 결석을 파쇄한 후 제거하는 요관경하 배석술을 시행합니다. 요로 결석의 크기가 너무 커서 체외 충격파 쇄석술이나 내시경적 수술로 해결할 수 없을 경우 복강경이나 개복수술을 합니다. 요로결석의 재발률은 상대적으로 높으며 초기 치료 후 5년 이내에 최대 50% 비율로 발생합니다.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4. 요로결석의 예방

 

요로결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소변량이 2리터 이상 되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루 10잔 이상의 수분섭취를 권장합니다. 칼슘섭취를 제한합니다. 하루 3잔 정도의 우유섭취는 괜찮으나 칼슘섭취를 지나치게 제한하면 요석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저염식사를 하고, 과다한 육류 섭취를 제한합니다. 육류는 소변 내 칼슘, 수산, 요산을 증가시키고, 결석의 생성을 막는 구연산을 감소시킵니다. 수산이 풍부한 시금치, 초콜릿, 아몬드, 땅콩, 브로콜리, 딸기, 콜라, 코코아, 커피, 술 등을 자주 과량 섭취하는 것을 제한하지만, 수산을 소량 섭취하는 것은 결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고단백이나 고지방 식이를 자제하고, 하루 2g 이상의 고용량 비타민C 섭취는 결석환자에게 해롭습니다. 구연산이 풍부한 귤, 레몬, 오렌지, 자몽, 매실, 토마토 등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요로결석에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는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통풍 등이 있기 때문에 기저질환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체질량 지수가 높을수록 소변에서 결석형성을 촉진하는 옥살산, 요산, 나트륨, 인산의 배설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체중조절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요로결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