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추워지는 날씨에 조심해야 할 심근경색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1. 18. 21:42

본문

심근경색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근경색이란 심근 괴사 상태로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 혈전, 혈관수축에 의해 완전히 막혀서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근경색은 사망률이 높아서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50%가 사망하고 병원에 도착해 적극적인 치료를 해도 사망률이 10%에 달하는 급사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추운 날씨에는 혈관이 수축하고, 교감신경계가 항진되어 혈압과 맥박이 올라가서 심장발작 및 뇌졸중이 급증합니다. 심근경색증은 11월부터 증가하여 12월과 1월에 가장 많고 특히 노인들에게 발생률이 높습니다.

 

 

1. 심근경색증의 원인

 

심근경색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주된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 협심증,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가족력으로서 부모 형제 중 심장병, 뇌졸중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맥경화증은 혈관이 기름기와 혈전에 의해 막혀서 생기는 상태를 말하고, 협심증은 심근 허혈 상태로 심장혈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하는 데, 심근경색증은 혈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를 말합니다.

 

 

2. 심근경색증의 증상

심근경색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증상은 매우 심한 가슴통증이 나타나고 식은땀, 메스꺼움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심근경색증 발생 시 가슴의 통증은 짓누르고 쥐어짜는 듯 한 통증으로 이 증상은 어깨나 팔로 퍼질 수 있으며, 가슴의 통증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이라고 할 만큼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심근경색증이 발생한 환자는 미리 나타나는 전조 증상을 경험합니다.

 

가슴에 압박이나 충만감이 오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오거나, 갑자기 가슴 중앙부로부터 어깨, 목, 팔 등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식은땀이 나며 숨쉬기 힘들면서 불쾌함을 느끼기도 하고, 오목 가슴이 아프고 토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이상한 가슴통증을 느꼈다면 병원을 찾아 심장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근경색 알아보기심근경색 알아보기
심근경색 알아보기

 

3. 심근경색증의 진단 및 치료

 

심근경색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 심전도 검사와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심근경색증이 일어났을 경우 움직이지 말고 가까운 종합병원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혀 밑에 넣거나 뿌리는 니트로글리세린이 있으면 즉시 복용하고, 효과가 없는 단방 약을 사용하거나 체한 것으로 오인하여 손끝을 따거나 약국, 한의원, 개인병원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말아야 합니다. 심근경색증은 발병 6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면 심장의 괴사를 막을 수 있고, 합병증 없이 치료가능하며, 늦어도 12시간 안에 내원해야 심근을 성공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치료방법은 혈전용해제를 투여하거나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해 막힌 심장혈관을 풍선도자나 스텐트를 이용해 뚫거나 넓혀주는 방법입니다.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면 전체 환자의 70% 정도는 혈전이 녹아서 혈관이 뚫리게 됩니다. 심한 경우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해 혈전과 동맥경화증으로 막힌 관상동맥을 확인한 다음 관상동맥 중재술이라는 시술로 막힌 혈관을 뚫습니다.

 

심근경색 알아보기심근경색 알아보기
심근경색 알아보기

 

4. 심근경색증의 예방

심근경색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중년증의 심근경색증의 가장 중요한 인자는 고혈압이었으며, 심근경색증 환자의 57% 정도가 고혈압 환자였고, 29%가 당뇨병 환자입니다. 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조절하면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은 환자가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중성지방이 높은 환자가 많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낮은 환자가 많습니다. 전체 심근경색증 환자의 절반 정도가 이상지질혈증을 보이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매일 30-40분씩 운동하고 금연하는 건강한 생활습관이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식습관으로 저지방 식이와 함께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연, 표준 체중 유지,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가 중요합니다. 담배를 계속 피우는 경우 금연하는 환자들에 비해 사망률이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금연해야 합니다. 이상 심근경색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심근경색 알아보기심근경색 알아보기
심근경색 알아보기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질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11.20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11.19
담도암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11.17
거북목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11.16
안구건조증 알아보기  (0) 2023.11.1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