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 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에 마비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면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의 정도가 감소하여 얼굴을 움직일 때 양쪽이 비대칭이 됩니다. 일명 구안와사라고 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면마비는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특발성 안면마비라고 합니다. 갑자기 안면마비가 생긴 환자의 경우 대부분 진찰과 검사를 받아도 특별한 원인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안면마비의 원인 중 가장 흔한 마비입니다. 안면마비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에는 마비의 원인에 맞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램지헌트 증후군이 있으면 대상포진바이러스에 의해 안면의 대상포진과 함께 안면마비가 발생합니다.
교통사고나 추락 때문에 머리가 충격을 받아 머리뼈의 골절과 더불어 안면마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뇌졸중이나 뇌종양 같은 뇌신경질환으로 인해 안면마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개 몸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쓴 후, 찬바람을 쏘인 후 안면마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맥의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의 압박, 추위로 인한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적 불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고 고혈압 환자에게 4-5배 정도 많이 발생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면마비는 갑자기 생기기도 하고 서서히 생기기도 합니다. 가장 흔한 벨마비는 몇 시간이나 며칠에 걸쳐 갑자기 발생합니다.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이마에 한쪽 주름이 적어지며, 한쪽 입꼬리를 올리기 힘들어집니다. 안면마비가 발생한 쪽 얼굴이 덜 움직이거나 안 움직이기 때문에 얼굴을 움직이면 얼굴이 일그러지거나 한쪽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입니다. 눈이 잘 감기지 않아서 눈물이 흐르거나 눈이 뻑뻑해집니다.
물을 마실 때 입술이 덜 움직이는 쪽으로 물이 샙니다. 한쪽 혀의 맛이 예전과 다르게 둔해지고 마비가 생긴 쪽의 감각은 그대로지만 안면이 부어 있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증상은 수 시간 내 또는 수 이네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완전마비 또는 부분마비로 나타납니다. 코를 찡긋하지 못하고, 입을 옆으로 벌리지 못하여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을 흘립니다. 휘파람을 불지 못하고 말을 해도 발음이 새어 정확한 발음을 하지 못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면마비가 생긴 환자는 귀와 신경 기능에 대한 자세한 진찰을 받고,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CT나 MRI 같은 검사를 받습니다.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흔한 벨마비의 경우 약물투여와 함께 전기 자극 등의 물리치료를 하면서 경과를 지켜봅니다. 벨마비 환자는 약물투여와 경과 관찰만으로 얼굴의 움직임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렘지헌트증후군은 항바이러스 약물과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눈을 감지 못하면 눈꺼풀이 눈을 보호하지 못하여 안구가 말라 각막이 손상되어 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눈꺼풀에 금이나 플래티넘으로 된 추를 삽입하여 눈이 잘 감기도록 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체적 피로 및 스트레스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고, 찬바람을 피하며, 일교차가 큰 날에는 외출을 삼갑니다.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외출 후 손을 잘 씻습니다. 고혈압, 당뇨 등 유발인자를 잘 조절하고 임산부의 경우 임신말기나 출산 후 발병할 수 있으므로 기력 저하를 주의합니다. 감기 후 악화되거나 재발할 수 있으므로 감기를 유의합니다. 안면 부위로 혈액공급을 방해하는 과음, 흡연 등을 금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14 |
---|---|
전립선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13 |
구인두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11 |
무지외반증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1.10 |
알코올성 간질환 알아보기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