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종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0. 22. 11:00

본문

부종은 조직 내 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 등의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쌓여 과잉존재하는 상태를 말하고 림프부종, 임파부종 이라고도 하며 림프관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부종일 경우에 한정하여 부릅니다.

 

 

혈관에서 조직으로의 순환에 문제가 있거나 역으로 조직에서 혈관으로의 순환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모두 발생할 수 있는 데 혈관 내 체액이 밖으로 빠져나가 신체의 세포와 세포사이, 즉 인체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축적되면 몸이 붓게 되는 것입니다.

 

 

 

1. 부종의 원인

부종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부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기저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부종은 반드시 전문의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전신부종은 심부전, 간경화, 신부전 등 전신질환이 원인인 반면, 국소 부종은 동맥, 정맥, 림프관 등 혈관계 이상이 원인입니다. 신장질환으로는 신증후군, 급성사구체신염, 급성 및 만성신부전, 임신중독 등 다양한 신장질환에 의해 부종이 발생하며, 신부전 환자의 경우 숨이 차오르기 시작하면 투석을 진행하는 신호로 인식됩니다. 심혈관질환에는 울혈성심부전, 심비대, 하대정맥폐쇄, 상대정맥폐쇄 등은 부종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울혈성 부종이 진행되면서 다른 합병증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소화기 질환으로 간경변, 역류성식도염, 염증성대장질환, 흡수장애로 부종이 발생합니다. 내분비 질환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부신피질호르몬과잉, 여성호르몬과잉 등의 부종은 기저질환 관리에 집중하여 치료합니다. 알레르기와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으로 생기는 류머티즘, 혈관염, 두드러기 등이 부종을 발생시킵니다. 림프계 질환으로 림프계 손상 및 염증 등에 의해 부종이 발생하는 데, 수술이나 외상 등에 의한 임파계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부종의 증상 및 예방부종의 증상 및 예방
부종의 증상 및 예방

 

2. 부종의 증상

부종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민감한 사람들은 체액량이 1kg만 증가해도 부종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4-5kg 체액 증가까지도 둔감한 경우도 있습니다.

- 몸이 자주 붓고,

- 아침에 눈이 자주 붓고 반지가 꼭 끼거나 신발이 평소에 비해 꼭 끼는 경우,

- 양말자국이 남거나 살을 누르면 눌린 채로 있는 경우,

- 누우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오고, 가벼운 운동에도 쉽게 숨이 차는 경우

- 소변량이 줄거나 수면 중 소변 때문에 잠을 깨거나

- 배, 음낭이 붓는 경우가 부종의 증상입니다.

3. 부종의 치료

부종의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부종치료는 원인치료와 증상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원인이 없거나 증상이 경미한 경우는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대개 이뇨제를 이용해 염분과 수분을 배설하는 치료를 하기 때문에 증상이 경미한 경우는 오히려 이뇨제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로 휴식과 염분을 제한합니다. 부종이 심한 경우는 콩팥에서 수분과 염분이 잘 배출되도록 이뇨제를 사용합니다. 이뇨제 사용으로 갑자기 체중을 감량하면 체내 염분과 수분이 부족하여 저혈압과 신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종의 증상 및 예방부종의 증상 및 예방
부종의 증상 및 예방

 

4. 부종의 예방

부종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태양열, 조리 시의 열,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합니다. 주사, 채혈, 혈압 측정은 건강한 팔에서 시행합니다. 부종이 있을 때는 무거운 물건이나 핸드백을 들지 않습니다.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처가 생기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시계나 팔찌는 느슨하게 착용합니다. 정원 일, 주방 일 등을 할 때는 장갑을 착용합니다.

 

 

누워 있을 때는 팔을 심장보다 높게 합니다. 테니스, 골프, 검도와 같이 어깨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심하게 하지 않습니다. 과격하고 반복적으로 문지르기, 밀기, 당기기를 피합니다. 다리를 꼬지 않고, 하이힐을 신지 않습니다. 도보, 수영, 가벼운 에어로빅, 자전거 타기 등을 합니다. 발진, 수포, 홍조, 체온상승, 열이 발생하면 의사의 처방을 받습니다. 균형 있는 저염식, 고섬유성 음식으로 체중을 관리합니다. 이상으로 부종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부종의 증상 및 예방부종의 증상 및 예방부종의 증상 및 예방
부종의 증상 및 예방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