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0. 23. 11:53

본문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정중 신경이 손목 터널을 통과할 때 정중 신경의 통증성 압박을 말하는 것으로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아프고 저리며 무감각해지는 것입니다. 손목 터널은 신경과 힘줄이 손목을 통해 손으로 지나가는 좁은 통로라 터널이라고 불립니다. 터널은 주변 힘줄, 인대,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중 신경은 손목의 손바닥 쪽에 위치해 있고, 손목 터널을 통과합니다. 이 신경은 엄지 손가락, 집게손가락, 가운데 손가락, 반지 손가락의 엄지 쪽에 감각을 제공합니다.

 

 

손목 터널증후군은 매우 일반적이고 특히 30-50세 여성들에게 매우 일반적입니다. 국내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는 17여만 명이 있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 팔을 많이 사용하면 발병위험이 커집니다. 환자의 약 60%가 집안일을 많이 하는 40-60대 중년 여성인 이유입니다. 손목터널 증후군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정도 많고, 주로 40대 이상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1. 손목터널 증후군의 원인

손목터널 증후군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정중 신경 압박이 원인입니다. 압박은 터널 주변 또는 터널 내 조직의 부기, 혹은 손목의 손바닥 쪽에 생기는 섬유 조직 띠로 인해 발생합니다. 임산부, 당뇨병, 갑상선 기능부전, 아밀로이드증 또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들이 손목터널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손목을 편 상태로 힘을 가하는 반복적인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위험합니다. 부적절한 자세로 컴퓨터키보드를 사용하거나 진동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이 손목터널 증후군을 발생시킵니다. 직장인이나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에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의 엄지 쪽 첫 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 절반의 감각이상, 무감각, 저림, 통증이 있고 아래팔에 통증, 작열감 또는 저림이 있습니다. 손이 놓인 자세로 인한 작열감 또는 무감각과 저림을 동반한 욱신욱신 쑤시는 통증으로 인해 잠을 설치기도 합니다. 손의 엄지손가락 쪽 근육이 허약해지고, 위축됩니다. 물건을 들다가 자주 떨어뜨리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굳거나 경련이 있습니다. 팔을 올렸을 때 팔목에서 통증이 발생하고 팔, 어깨, 목까지 통증이 발생합니다. 방문을 열기 힘들고, 휴대폰을 잡기 어렵고, 단추를 잘 못 채우는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3. 손목터널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손목터널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을 진찰하는 팔렌 검사가 있습니다. 양 손등을 서로 마주 대고, 양 손목을 90도로 꺾어서 가슴 위치에 둔다. 이 자세를 1분 동안 유지하여, 엄지손가락부터 약지 손가락에 통증이 있으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합니다. 의사의 검진과 신경전도 검사, 영상 검사 등으로 진단합니다. 손과 손목을 진찰하여 손목터널 증후군을 진단하고 신경전도 검사를 실시하거나 초음파와 같은 고도의 영상검사를 실시합니다. 손목을 과신 전하거나 정중신경에 지나친 압박을 가하는 자세를 피하고, 컴퓨터 키보드 각도를 조정하여 압박을 완화하고 특히 밤에 손을 중립자세로 고정해 주는 부목을 착용하고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류머티즘 관절염이나 갑상선 기능 부전의 치료가 증상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손목터널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주입하여 지속적인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통증이나 무감각이 중증인 경우 또는 근육이 위축 또는 허약해지는 경우, 수술이 정중 신경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신경에 압박을 가하는 섬유조직띠를 잘라내는 수술을 합니다. 수술을 하는 대상은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신경장애, 운동기능의 약화, 통증이 심해지거나 약해지는 증상이 동반하고, 다른 원인에 의해 압박을 겪거나, 손목 손상 후 발생한 급성 증상이 있는 환자가 대상입니다. 수술을 하고 나면 저린 감각과 야간에 잠에서 깨던 일은 사라지고 점진적으로 회복이 이뤄집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4. 손목터널 증후군 예방

손목터널 증후군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을 뒤로 젖히고 손가락을 느슨하게 펴고, 손목을 반듯하게 핀 후, 손가락 이완시키기, 주먹을 꼭 쥐기, 주먹을 쥐고 손목을 최대한 구부려 다섯을 세기, 위 운동을 10회 반복하고 양팔을 옆으로 펴고 5-6초간 흔들기의 행동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생활에서의 예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손과 손목을 잡거나 끄는 행동을 삼갑니다. 손목을 접거나, 뒤틀고 회전시키는 행동을 금합니다. 물건을 잡고 있는 행동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활동을 최소화합니다. 물건을 들 때는 손과 손가락 전체를 사용하여 손목의 긴장을 감소시킵니다.

 

 

 

밤이나 작업 중에 손목 부목을 사용하여 손목 굴절을 감소시킵니다. 정기적으로 손목을 휴식합니다. 힘이 들어가면서 반복적인 움직임이 필요할 때에는 속도를 줄입니다.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손목을 심장보다 높게 합니다. 근력을 유지하려면 관절 운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부목을 하고 있는 동안에는 하루에 수차례 부목을 제거하고 운동을 합니다. 수술을 시행하였다면 혈액 순환을 유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증가하기 위해 스펀지나 물렁한 공을 쥐었다 폈다 하는 운동을 합니다. 이상으로 손목터널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예방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탕후루와 건강관계  (0) 2023.10.25
아킬레스건염의 증상 및 치료  (0) 2023.10.24
부종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22
심근경색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21
고지혈증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