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0. 11. 10:36

본문

대장암의 증상과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은 소장의 끝에서 시작해 항문까지 연결된 긴 튜브모양의 소화기관으로, 길이가 약 150cm 정도입니다. 보통 6m가 넘는 소장보다 훨씬 짧지만 폭이 넓어서 대장이라 부릅니다.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전이성 병변 등이 있습니다. 전체 암의 12.3%로 2위입니다.

 

1. 대장암의 원인

대장암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체 대장암의 약 10~30%를 차지하는 유전성 요인이 있습니다. 가족성 용종증은 20~30대에게 잘 나타나며, 95%의 환자는 45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선종이 대장에 발생하여 설사, 복통, 직장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동물성 지방 또는 포화지방이 높은 식사를 할 경우나 돼지고기, 소고기 같은 붉은 고기 섭취가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비만, 음주, 염증성 장질환도 대장암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2. 대장암의 증상

대장암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병이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암의 주된 증상은 배변 습관의 변화, 설사와 변비, 배변 후 변이 남은 것 같은 느낌, 혈변 또는 끈적한 점액변, 복통, 복부 팽만, 피로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부종물(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 등이 있습니다. 우측대장암은 설사, 빈혈, 체중감소, 근력감소, 복통, 복부팽만의 증상이 있습니다. 좌측대장암은 배변습관변화, 변비, 혈변, 점액변, 장폐색증상이 있습니다. 직장암은 혈변, 변비 혹은 설사, 배변 시 통증이 있습니다.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3. 대장암의 진단 및 치료

대장암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암 진단은 전체 대장암의 2/3 이상이 직장과 에스상 결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직장수지검사를 먼저 합니다. 집게손가락을 직장 내에 깊숙이 집어넣으면 항문 입구에서 8~10cm 상방에 위치한 종괴를 만질 수 있습니다. 에스상 결장경 검사는 직장수지검사로 만질 수 없는 상부의 직장 및 에스상 결장까지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대장암의 40~60%가량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에서 대장암으로 진단되면 병의 진행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 자기 공명영상검사, 양전자단층촬영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방법은 내시경적 절제술,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습니다. 내시경적 절제술은 암세포의 분화도가 좋고, 혈관이나 림프관을 침범하지 않았으며, 점막 또는 점막하 조직 일부에만 국한되어 있는 조기 대장암은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잘라낸 조직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암의 침윤 정도가 깊거나 세포의 분화도가 나쁠 경우, 또는 혈관이나 림프관을 침범한 소견이 보일 때는 2차적으로 개복수술이나 복강경수술을 시행하여 대장을 광범위하게 절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은 대장암의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종양을 중심으로 원위부와 근위부 양 방향으로 종양과 충분히 떨어진 곳까지 대장을 절제하고, 림프절도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것입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주사 또는 경구용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여러 약제를 동시에 병합하여 사용하거나 단독 약제만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약물은 전신으로 전달되므로 대장에 있는 암뿐만 아니라 간이나 폐 등으로 전이된 암에도 효과를 보이는 전신 치료법입니다. 항암제 치료는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을 낮추기 위한 치료인 보조 항암요법과 전이가 되거나 재발이 된 경우에 생명연장을 하기 위한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진행성 직장암에서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국소적인 치료법으로 진행성 직장암에서 재발 가능성이 높은 2기나 3기인 암의 수술 전 또는 수술 후에 보조적 치료로 이용됩니다. 4기라 할지라도 절제가 가능한 원격전이인 경우에는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고, 1기 암에서 국소 절제 후 재발을 막고자 시행합니다.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4. 대장암의 예방

대장암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암을 예방하는 방법은 육류, 계란, 우유 제품, 샐러드드레싱, 기름 등의 음식물을 제한하고 지방질의 섭취를 줄입니다. 과일, 채소 등과 같은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많이 섭취합니다. 고단백, 고지방 식사는 최대한 피하고,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의 붉은 육류보다 닭 가슴살, 생선 등 흰색 고기 위주의 섭취를 권장합니다.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면 대장의 내용물을 희석시키고 대변의 부피를 늘려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줄이므로 식사 때마다 채소나 과일을 챙겨 먹어야 합니다. 비만이 있으면 체중을 조절하고 금연과 절주를 합니다. 50세 이후에는 별다은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검진을 받아서 대장암을 초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습니다. 이상으로 대장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대장암의 증상 및 예방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럼증 증상 및 예방  (0) 2023.10.13
수족냉증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12
대사증후군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10
분노조절장애 증상 및 치료  (0) 2023.10.09
단지증 원인 및 치료  (0) 2023.10.0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