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 위험한 30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B형 간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간암이 됩니다.
전체 간암 환자의 70%가 B형 간염이 원인으로 발병합니다.
B형 간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B형 간염은 바이러스로 태어날 때부터 어머니로부터 혈액이 신생아로 넘어오는 과정에 수직감염되는 경우가 전파 경로로 70%입니다. 신생아는 면역력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바이러스를 그대로 받아들여 만성질환이 됩니다. 백신은 1985년 도입됐지만 나중에 모자감염이 주된 통로란 걸 알게 된 후 소아과학회가 기본 접종에 포함한 것은 1991년입니다. 1995년 정부가 영유아 정기접종에 포함해 현재 30세 이하에는 환자가 거의 없으나, 그 이상의 연령대에는 태어날 때 B형 간염에 걸린 사람이 아직 존재하고 있습니다.
치료 B형 간염 환자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130만 명 환자 중 30만 명 정도가 급여기준에 부합해 약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치료 가이드라인을 바이러스 기준으로 변경하고 건강보험 급여기준도 변경되면 치료 대상이 30만 명 추가될 것입니다.
건강기능식품과 민간요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제조자나 유통과정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분해하고 소장에 흡수합니다. 한 가지 약초를 달여 먹어도 10가지 이상의 화학물질로 분해돼 흡수되어 간으로 가게 됩니다. 10가지 분해 물질 중 단 한 가지라도 독소가 있으면 간은 손상을 받게 됩니다.
간염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간 건강에 제일 많이 노출된 위험이 술과 복부비만입니다. 20~30년 후에는 술과 복부비만에 의한 간 질환이 증가할 것입니다. 절주를 반드시 해야 하고, 나이가 들수록 대사량은 떨어지는 반면 식사량이 늘어나므로 당분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절주와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이 간염 예방에 매우 중요합니다.
척추를 바로잡는 스트레칭 4가지 (0) | 2024.03.15 |
---|---|
허벅지 둘레의 중요성 알아보기 (0) | 2024.03.14 |
뱃살 없애는 운동 3가지 (0) | 2024.03.12 |
치매를 부르는 습관 4가지 (0) | 2024.03.11 |
여성의 노화가 시작되는 나이는? (0)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