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 알아보기

정보

by 드림세르파 2024. 7. 8. 05:42

본문

6억 이하 1 주택자의 재산세 부담을 알아보겠습니다.

매년 6월 1일은 토지와 주택에 대한 재산세를 내는 기준일입니다.

 

재산세는 국세가 아니라 지방세이기 때문에 납세자가 주소를 둔 지방자치단체가 세액을 고지합니다. 올해는 작년에 이어 1 주택자에 한하여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의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추가 인하되어 재산세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1. 재산세 납세의무자

재산세 납세의무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세인 재산세는 시군세와 구세로 구분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50%는 특별시세, 50%는 구세로 귀속됩니다. 재산세 과세대상은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로 납세의무자는 과세기준일 시점에 재산을 사실상 소유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수탁자 명의로 등기 또는 등록된 신탁재산은 위탁자가 납세의무를 부담하고 소유자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재산 사용자가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2. 재산별 납부 시점

재산별 납부 시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은 연간 납부해야 할 재산세를 통상 1 기분(매년 7.16~31)과 2 기분(매년 9.16~30)으로 절반씩 나눠 납부합니다. 건축물, 선박, 항공기를 보유한 경우 매년 7.16~31일까지 납부기간입니다.

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
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

3. 재산세 계산

재산세 계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택분 재산세는 정부에서 발표하는 공시가격에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공정시장가액비율

공정시장가액비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시가격 비율로 이 비율이 낮을수록 과세표준은 낮아지고 세금도 줄어듭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부동산시장 동향과 지방 재정 여건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
6억이하 1주택자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09년 도입 이후 2021년까지 60% 수준이었으나 재산세 급등으로 2022년 한시적으로 1 주택자에 한해 45%로 낮췄습니다. 3억 원 이하는 43%,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는 44%, 6억 원 초과는 45%를 유지했습니다. 올해도 작년에 이어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연장 적용할 방침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