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편도선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신의 저항력이 감소하였을 때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해 급성 감염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편도선염은 몸의 저항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편도선염은 몸의 저항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은 β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편도선염의 원인입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도 편도선염을 유발합니다. 미취학 아이들은 바이러스 때문에 편도선염에 걸리는 경우가 많고,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세균 때문에 편도선염에 걸립니다. 급성편도선염은 청년기 또는 성인에게 잘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편도선염에 걸리면 고열, 오한, 인후통이 나타납니다. 인두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삼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 신체 전반에 걸쳐 증상이 나타납니다. 혀 표면이나 구강 내에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생기고 경부임파선 비대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4~6일 정도 지속되고, 합병증이 없으면 점차 사라집니다.
편도선염이 잦으면 편도가 비대해져서 기도가 좁아지고, 코골이가 생기고, 목소리가 변합니다. 목에 이물감이 이어지고, 목감기를 달고 삽니다. 축농증이나 중이염의 위험을 높이고, 입으로 숨을 쉬어서 치열과 얼굴 생김새에 문제가 생깁니다. 수면의 질이 저하되어 성장 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습니다.
편도선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신체 검진을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구인두를 관찰하여 발적, 부종, 삼출물의 유무 등을 파악합니다. 세균배양 검사나 인두도말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합병증이 의심되는 경우 염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혈액검사와 농양의 양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합니다.
편도선염은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증상 조절을 위한 소염진통제 복용 등으로 치료합니다. 합병증이 의심되거나 세균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 치료를 합니다. 일 년에 3~4회 이상 편도선염이 재발하면 편도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편도 비대로 인하여 치아 부정교합이 생기거나 안면골 발달장애가 생길 때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편도선염은 피로가 쌓이거나 온도 변화에 노출되었을 때, 대사성질환 및 면역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잘 발생합니다. 환절기에 일교차가 크면 면역력이 약해지고 건조해진 호흡기로 세균이 쉽게 침투하게 되어 편도선염과 같은 급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편도선염은 목이 건조하거나 바깥의 병원균이 편도에 부착할 경우 생깁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소에 외출하고 나면 양치 및 가글을 함으로써 병원균의 접촉을 막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특히 목이 간지러운 느낌이 든다면 약국에서 클로르핵시딘 가글을 구입해 목구멍 뒤쪽까지 닿도록 가글을 하면 효과적입니다. 편도선염은 대개 자연적으로 증상이 호전되지만 감염이 지속되면 편도주위염, 경부 및 심부 감염, 패혈증 등으로 발전할 수 있고, 염증으로 인한 기도의 폐색을 유발합니다. 평소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손을 자주 씻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 마시기도 힘든 구내염 알아보기 (0) | 2023.12.17 |
---|---|
다한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3 |
위식도 역류질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2 |
건성피부염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1 |
비정상 자궁출혈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