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DB형과 DC형을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은 기업이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운영해서 마련합니다.
기업이 부도가 나거나,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전문성 있는 외부 금융기관에서 퇴직급여를 관리합니다. 퇴직연금은 DB형과 DC형으로 나뉘고 나중에 전환이 가능합니다.
확정급여형(DB)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확정급여형은 Defined Benefit의 약자로 DB라고 합니다. 기업이 근로자의 퇴직연금을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운영하지만, 근로자가 받을 퇴직금의 액수가 정해져 있는 연금입니다. 퇴직금 액수는 근속연수 ✕ 최근 3개월간 평균임금입니다.
확정기여형(DC)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확정기여형은 Defined Contribution의 약자로 DC라고 합니다. 기업이 근로자의 이름으로 된 계좌에 매달 일정금액의 퇴직금을 주는 방식입니다. DB형과 달리 근로자가 이 돈을 이용해 투자해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퇴직하기 전까지 본인의 퇴직금이 얼마인지 알 수 없습니다. 큰 수익이 발생하면 더 많은 퇴직금을 받을 수 있으나, 반대로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DB형과 DC형 선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안정성 측면에서는 DB형을 선택합니다. 특히 투자가 불황일 때에는 퇴직금이 안전하게 보호되고 임금인상률까지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투자가 호황일 때는 DC형이 선호됩니다.
매달 퇴직금을 받아 그 계좌 안에서 투자하면 자산을 불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투자금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위험성을 인지해야 합니다. 퇴직연금으로 투자할 때는 전체 적립액의 70% 이상 투자하지 못하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DB형과 DC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중산층 알아보기 (0) | 2024.06.13 |
---|---|
여윳돈 투자방법 3가지 (0) | 2024.06.12 |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가능 사유 알아보기 (0) | 2024.06.10 |
국민연금 분할연금제도 (0) | 2024.06.08 |
조정대상지역에 주택 보유시 유의점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