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축농증이란 부비동염이라고도 하는 데 콧속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면서 누런 고름 같은 콧물이 고여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부비동이란 사람의 머리뼛속 코 주위에 있는 동굴을 말하는 데 감기 등으로 공기 동굴의 작은 입구가 막혀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면 동굴 안에 염증이 생깁니다.
축농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온, 습도의 변화, 대기오염, 비위생적인 생활환경, 비타민A, D 등의 영양결핍과 유전적인 요소도 부비동염에 잘 걸릴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급성축농증은 축농증 기간이 3주 이내로 감기증상으로 생기는 급성비염으로 양쪽 콧구멍을 나누는 칸막이 뼈가 휘어진 비중격만곡증, 알레르기, 외상, 턱 주위 얼굴윤관이 기형, 콧속 비강 종양으로 코막힘이 발생합니다. 만성축농증은 축농증 기간이 3개월 이상으로 급성부비동염이 방치되거나 장기화될 때, 급성염증이 반복될 때 발생합니다.
축농증의 증상 및 진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급성축농증은 피로감, 두통, 미열과 함께 코막힘, 콧물과 부비동 부위의 통증이 있습니다. 만성축농증은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가 뒤로 넘어가는 콧물 등이 생기며 후각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두통이 발생합니다. 귀나 목에도 영향을 미쳐 만성 후두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 중이염 등도 나타납니다.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부비동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0-14일 이상 지속되는 감기와 끈적끈적한 황록색의 비강 분비물, 코가 목뒤로 넘어가고 인후통, 기침, 구역질, 구토 등을 하며, 보채거나 축 늘어집니다. 눈 주변에 부종이 생기기도 합니다.
축농증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진찰 소견, 검사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코 내시경을 통해 관찰하며 고름이 나오거나 코 안에 물혹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축농증의 자가진단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막힘(81-95%), 안면통증이나 충만감(70-85%), 누런 콧물이나 농과 같은 콧물(51-83%), 후각감퇴(61-69%)의 증상이 두 개 이상 있고 12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축농증일 가능성이 있으며 두통, 기침, 피곤함, 집중력 저하, 치통, 귀가 먹먹한 느낌, 입 냄새가 날 수도 있습니다.
축농증의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내과적인 치료와 외과적인 치료로 구분합니다. 내과적인 치료는 부비동 입구의 부기를 빼고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항생제와 점막수축제 등의 약물치료를 하며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경우에는 두 질환을 동시에 치료합니다. 대개 2주 정도 치료를 하지만 질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외과적인 치료는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만성 축농증의 경우 수술을 합니다. 수술 치료의 원칙은 막혀있던 부비동의 자연공을 열어 콧속 환기와 배설기능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발병의 선행 요인인 비강 내 구조적인 이상을 제거하거나 교정하는 것입니다.
부비동 점막의 병변이 비가역적이라면 부비동 점막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콧속을 국소 마취한 뒤, 가느다란 내시경을 넣어 고름이 차지 않도록 막힌 부위를 넓히고 병소만을 제거합니다. 별도의 피부절개 없이 비강을 통해 수술을 진행하며, 약물치료나 부비동 세척에 비해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 후에는 1-2주 동안 코에 솜을 넣어 지혈하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되고, 집에서 세척을 한 후에는 코를 너무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최소 2주 정도는 사우나, 심한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최소 4주 정도는 수영을 하지 않고 금주 및 금연을 합니다.
축농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축농증은 별다른 증상 없이 기침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 얼굴 부위의 압통과 두통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균형 잡힌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분 섭취와 수면 등 생활 습관 교정이 필요하며, 마늘, 도라지, 작두콩, 대추, 무, 은행, 머위, 연근, 배 등의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기름진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단당류 등의 섭취를 조절해야 합니다. 비강 내 국소 스테로이드와 생리식염수 코 세척은 특히 용종을 동반한 만성축농증 환자에 도움을 줍니다.
이상으로 축농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뇌전증의 증상과 예방 (0) | 2023.09.29 |
---|---|
무좀의 증상과 예방 (0) | 2023.09.28 |
비문증의 증상과 예방 (0) | 2023.09.26 |
만성신부전증의 증상과 치료 (0) | 2023.09.25 |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과 예방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