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정보

by 드림세르파 2024. 7. 23. 06:14

본문

전월세 계약 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집주인과 임대인 동일 여부, 임대차 기간, 특약사항 등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집주인과 임대인 동일 확인

집주인과 임대인 동일인 여부 확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대인으로 기재되는 집주인의 인적 사항, 본인이 계약하는 상대방이 실제 집주인이 맞는지를 등기부등본 상의 소유주와 집주인 주민등록증 확인을 거쳐 확인해야 합니다.

 

2. 임대차 기간 확인

임대차 기간 확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계약서에는 임대차 기간이 들어가야 하는데, 월세는 보통 1년, 전세는 2년으로 계약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계약의 시작일이 잔금을 송금하는 날과 동일하여야 합니다.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3. 계약서 날짜 작성 방법

계약서 날짜 작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2년짜리 계약의 경우, 계약서 날짜를 작성할 때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민법상 원칙은 초일불산입이지만, 현실에서는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가 문제 되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편의에 따라서 하도록 합니다.

 

✔ 초일 불산입 : 첫날을 계산하지 않음 2023.1.1. 일자로 2년짜리 계약 초일 불산입으로 할 경우 계약기간은 2023.1.1.~2025.1.1. 일이 됩니다.

 

✔ 초일 산입 : 첫날을 계산함 2023.1.1. 일자로 2년짜리 계약 초일 산입으로 할 경우 계약기간은 2023.1.1.~2024.12.31. 일이 됩니다.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전월세 계약전 확인해야 하는 3가지

4. 특약사항

특약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특약사항은 말 그대로 계약 당사자인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로 합의로 특별히 이런 내용을 약속하자는 것으로 계약서의 다른 조항들이 다 관용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이라면, 특약은 서로의 사정에 맞게 작성하는 것입니다.

특약사항에 들어가는 문구는 정해진 것이 없고 당사자들이 합의하여 정해서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집주인이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허락하지만 개로 인해 도배, 장판 등이 상하는 경우 변상해야 한다는 특약, 기물파손 등에 대해서 임차인이 계약만료일 전까지 전액 보상한다는 등의 내용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전월세 계약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