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변호사 등 우리나라 전문직 종사자들 의 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의사의 사업소득이 변호사와 회계사 등 다른 전문직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원 전문의와 일반 근로자 소득 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습니다.
전문직 종사자 사업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국세청의 [ 전문직 종사자 업종별 사업소득 백분위 현황]에 따르면 2021년 전문직 업종 중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등이 포함된 의료업종 종사자 7만 6673명이 얻은 소득은 모두 20조 5969억 원으로 의사 1인당 평균 사업소득은 2억 7천여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업종의 경우 1인당 평균 사업소득은 회계사 1억 1800만 원, 변호사 1억 1500만 원, 변리사 9300만 원, 세무사 8100만 원, 관세사 6400만 원, 법무사 4800만 원 등의 순입니다.
의료업종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의료업종 상위 1% 소득자는 766명으로 소득금액합계 1조 9885억 원으로 인당 평균 26억여 원에 달했습니다. 의료업종 전체 평균 소득과 상위 1% 구간의 소득은 9.6배 격차를 보였습니다. 우리나라 개원 전문의 소득과 전체 근로자 평균 임금 간의 격차는 관련 통계가 공개된 OECD 33개 회원국 중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OECD 국가별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OECD 가 지난해 발간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개원 전문의 소득은 전체 근로자 평균 대비 6.8배입니다. 벨기에 5.8배, 독일 5.6배, 프랑스 5.1배, 오스트리아 4.5배, 캐나다 4.2배, 이스라엘 4배, 호주 3.8배, 네덜란드 3.3배, 스위스 3.2배 등의 순서입니다.
월급의사(봉직의) 전문의의 경우 우리나라는 통계가 공개된 국가 중 두 번째로 격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봉직의 기준 소득 격차가 가장 큰 나라는 4.7배인 헝가리였고, 우리나라와 칠레가 4.4배로 둘째입니다. 일반 개원의와 전체 근로자 임금 간 소득 격차는 독일 5배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영국 3.4배, 오스트리아, 스위스, 에스토니아 모두 3.1배, 한국, 아일랜드, 프랑스 3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가구 맞춤형 안심정책 알아보기 (0) | 2024.02.26 |
---|---|
밸류업 촉진 인센티브 알아보기 (0) | 2024.02.25 |
비과세되는 복리후생적 급여 알아보기 (0) | 2024.02.23 |
상속세 (소득없는 고령배우자) 알아보기 (0) | 2024.02.22 |
양도소득세 신고시 필요경비 공제 누락 알아보기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