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온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체의 정상 온도는 36.5~37℃ 의 범위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스스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체온증은 임상적으로 중심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인체의 열생산이 감소되거나 열 소실이 증가될 때,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되며, 저체온증은 갑자기 생기거나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체의 매우 많은 요인이 열 손실을 예방하는 방어 기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소아는 상대적인 체표 면적이 성인보다 넓어 열 손실이 많습니다. 고령자는 자율신경계의 이상이나 혈관의 방어 기전의 저하로 더 쉽게 저체온증이 발생합니다. 외상을 입은 경우 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저체온증이 발생합니다. 내외적 요인은 외상에 의한 뇌신경계 기능저하로 인한 열조절 능력의 장애입니다. 외적인 요인은 과다출혈에 의한 쇼크가 발생했을 때 시행한 가온되지 않은 수액 및 수혈치료입니다.
차가운 물에 잠겼거나 여러 시간 추운 환경에 노출된 경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신 기능 저하증, 저혈당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수면제 등의 약물을 복용한 경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 저체온증이 발생합니다. 술을 마신 경우에는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사지 말단부의 혈관 확장에 의한 열 손실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저체온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체온증은 체온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입니다. 32~35℃의 경우에는 오한, 과호흡, 혈압증가, 신체기능 저하, 판단력 저하와 건망증이 나타나며, 말을 정확히 할 수 없고, 걸을 때 비틀거립니다. 28~32℃의 경우에는 오한이 소실되고 온몸의 근육이 경직됩니다. 극도의 피로감, 건망증, 기억 상실, 의식 장애, 서맥, 부정맥 등이 나타납니다. 28℃ 이하인 경우 반사기능이 소실되고, 호흡부전, 부종, 폐출혈, 저혈압, 혼수, 심실세동 등이 나타나고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이나 방광에서 측정한 심부 체온이 35℃ 이하일 경우 저체온증으로 진단합니다. 저체온증 환자는 더 이상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체온손실을 막기 위해 젖은 의복은 제거하고 담요로 환자를 감쌉니다. 심근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어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이동해야 합니다. 부정맥은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심율동 장애는 특별한 치료 없이 재가온 시에 자발적으로 회복됩니다.
저체온증 환자는 탈수가 심하고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수분을 공급하여야 합니다.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와 당분을 공급하고, 의식이 없으면 호흡, 맥박 체크와 함께 필요할 경우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수액을 공급합니다.
저체온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따뜻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특히 침실보온이 중요합니다. 옷을 여러 벌 입습니다. 모직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원단은 젖었을 때도 단열효과가 있으므로 이러한 원단으로 만든 옷은 유용합니다. 신체는 머리로 상당량의 열을 잃으므로 따뜻한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가락과 발가락도 반드시 보온합니다. 따뜻한 음식물을 섭취하고 따뜻한 음료를 마십니다. 음식물은 신체에 연소할 연료를 제공하며, 따뜻한 음료는 열을 제공하고 탈수를 방지합니다. 알코올은 피부 혈관을 팽창시켜 신체가 일시적으로는 따뜻함을 느끼지만 실제로는 훨씬 큰 손실을 유발합니다. 추울 때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신체의 열생성을 높입니다. 이상으로 저체온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평발의 증상 및 치료 알아보기 (0) | 2023.11.25 |
---|---|
혈관성 치매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4 |
턱관절 장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2 |
만성두드러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1 |
치질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