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독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신한 시기에 발병하는 임신중독증은 대표적인 고위험 임신성 질환입니다.
임신 20주 이후 산모라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중독증의 정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중독증은 임신으로 새롭게 발생한 임신 중 고혈압질환입니다.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을 동반한 단백뇨가 관찰되면 임신중독증으로 진단합니다. 임신중독증은 전체 임신부 사망 원인의 1위일 정도로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입니다.
임신중독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중독증은 임신 초기 태반의 형성 장애로 인해 임신 후기로 갈수록 늘어나는 혈액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혈압이 잘 조절되는 경증이면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중증 임신중독증인 전자간증으로 진행되면 자궁 내 태아 성장이 더뎌지고 태반이 조기 박리되는 등 위중도가 증가합니다.
산모도 경련을 일으키고 간 파열, 뇌출혈, 폐부종, 실명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합니다. 심한 두통이 지속되거나,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눈앞이 번쩍하는 시각장애가 나타나고, 다리가 퉁퉁 붓는 부종, 오른쪽 윗배가 꼬집듯이 아프거나, 체중이 일주일에 2~3kg 이상 급격히 증가하기도 합니다.
임신중독증 고위험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중독증 고위험군은 초산(첫 임신), 만 35세 이상 고령 임신, 다태(쌍둥이) 임신, 이전 임신에서 임신중독증 과거력이 있을 때입니다. 산모의 엄마, 이모, 자매 등 모계를 중심으로 임신중독증 가족력이 있다면 임신중독증 발병 위험이 3배 이상 높습니다.
임신중독증의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약물치료 등으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중증 임신중독증의 최종적 치료법은 임신을 종결하는 분만입니다. 임신 34주 이후에 발견된 중증 임신중독증으로 진행하면 바로 분만하고, 임신 34주 이전이라면 태아의 폐 기능 발달 정도 등 임상적 상황을 고려하여 분만 시점을 결정합니다. 전자간증 등 중증 임신중독증 고위험군이라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예방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임신중독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령임신이라면 임신 20주 차가 되었을 때 임신중독증을 예측하는 혈액검사를 하면 현재 임신중독이 걸렸는지 아닌지는 물론 4주 안에 임신중독증이 발생할 지도 예측이 가능합니다. 임신중독증 위험도가 클수록 관련 수치가 높아집니다.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검사하면서 경과 변화를 살펴서 이를 통해 임신중독증으로 인한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고 분만시기를 결정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스포츠 손상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5.02 |
---|---|
골밀도 검사 알아보기 (0) | 2024.05.01 |
사망 위험 두배 높은 생활 습관 알아보기 (0) | 2024.04.29 |
계단 오르기 운동법 알아보기 (0) | 2024.04.28 |
건강한 식생활 지침 8가지 알아보기 (0)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