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울증 걸린 뇌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3. 2. 20:09

본문

우울증 걸린 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울증에 걸린 뇌는 뇌사상태에 가깝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수는 한해 100만 명이 넘습니다.

 

 

가면을 쓴 것처럼 괜찮아 보이지만 사실 마음속에 우울증을 가진 가면성 우울증을 앓는 사람이 많습니다.

 

 

 

1. 우울증의 특징

우울증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울증의 특징 중 하나는 무기력증입니다. 병원을 찾아오는 우울증 환자의 복장은 후드티에 모자와 마스크를 쓰고 세수도 제대로 하지 않는 등의 모습입니다. 씻기조차 어려울 만큼 의욕이 없고 무기력하기 때문입니다. 집중이 되지 않고 멍하거나 들어도 기억이 안 나고, 쾌감에 대한 욕구가 사라지면 우울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중도포기나 과격한 행동, 피해의식으로 연결됩니다.

 

2. 우울증의 주요 증상

우울증의 주요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서 흥미나 즐거움을 잘 느끼지 못합니다. 현저한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와 불면 또는 과다한 수면이 있습니다. 주변 사람이 알아차릴 정도의 초조함과 피로감 또는 활력의 상실감을 자주 느낍니다.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고 부적절한 죄책감을 많이 느낍니다. 집중력이 저하되고 죽음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생각합니다.

 

우울증 걸린 뇌우울증 걸린 뇌
우울증 걸린 뇌

3. 우울증의 종류

가면성 우울증과 산후 우울증, 주부 우울증이 있습니다.

가면성 우울증은 소아 및 청소년에게 자주 나타나는 우울증으로 겉으로 보아서는 아이의 우울한 감정을 알아내기 힘들기 때문에 충분한 대화가 필요합니다. 산후 우울증은 아이를 출산한 후 4주 이내에 우울한 기분, 심한 불암감, 불면, 의욕 저하 등의 우울증이 나타납니다. 주부 우울증은 30대 중반에서 50대 후반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여성 전체 우울증 환자들 중 50%를 차지합니다.

 

4. 우울증 환자를 대하는 법

우울증 환자를 대하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말 주변이 없는 사람이라면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그건 우울한 게 아니야 같은 말은 피해야 합니다. 친한 사이라면 심각하게 받아들이기보다 일상적인 대화를 하며 상대에 공감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무언가를 권유하기보다 쉬어가도 괜찮다, 지금까지 열심히 했다 등의 공감과 지지의 말이 도움이 됩니다.

 

우울증 걸린 뇌우울증 걸린 뇌
우울증 걸린 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