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성암 발생 1위 유방암의 진실 9가지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4. 5. 19:13

본문

여성암 발생 1위 유방암의 진실 9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어느 질환이든 선입견이나 오해가 존재합니다. 사소하다고 느낄 수 있는 부분이라도 중증 질환이라면 무게감이 달라집니다. 유방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봅니다.

 

 

1. 잦은 유방촬영술과 유방암

잦은 유방촬영술과 유방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촬영술(맘모그라피)은 X선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유방암 검사입니다. 이 검사로 노출되는 방사선량은 미미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준이 아닙니다. 디지털맘모그라피를 통한 방사선 피폭량은 필름 시절의 25% 수준으로 미미합니다.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해서 1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도록 권합니다.

 

 

2. 치밀 유방과 유방촬영술

치밀 유방과 유방촬영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 검진에 유방촬영술과 유방 초음파가 사용됩니다. 유방암 전단계나 초기에는 혹이나 미세석회화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치밀 유방이라도 유방촬영술은 미세석회화를, 유방초음파는 혹을 잘 발견합니다.

 

유방암의 진실유방암의 진실
유방암의 진실

3. 유방통증과 멍울

유방통증과 멍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에 느껴지는 통증은 사실 유방암과는 관계가 없고 멍울이 더 중요합니다. 없던 혹이나 멍울이 만져진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혹이나 멍울이 실제 유방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를 보면 통증이 없는 때도 많습니다. 멍울이 양성종양일 수 있지만 전문의가 아닌 경우 암과 구별이 불가능합니다.

 

4. 출산과 모유수유

출산과 모유수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 발생률과 위험도는 여성호르몬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집니다.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은 여성이 유방암 위험이 더 큽니다. 출산과 모유수유가 유방암 위험을 낮추는 것은 맞지만 다자녀를 출산하거나 모유 수유를 한 유방암 환자도 있으므로 예외가 있습니다.

 

유방암의 진실유방암의 진실
유방암의 진실

5. 비만여성과 유방암

비만여성과 유방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든 폐경 후 여성은 지방에서 여성호르몬이 생성되어, 비만인 폐경 여성의 여성호르몬 레벨은 비만이 아닐 때보다 더 높아져서 유방암 위험이 커집니다.

 

6. 콩섭취와 유방암

콩섭취와 유방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콩에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콩 단백질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합니다. 이소플라본이 여성호르몬의 작용을 막아 항암 효과를 낸다는 의견이 있으나 유방암 환자에게는 콩 섭취량을 줄일 것을 권장합니다.

 

유방암의 진실유방암의 진실
유방암의 진실

7. 종양의 크기

종양의 크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양성종양을 절제하는데 사이즈에 대한 기준이 없으나 양성종양으로 확인된 경우 자라는 증식성을 고려해 제거합니다. 양성종양 중에서도 비정형 유관증식증이나 엽상피내암 등 유방암 전단계라면 무조건 제거합니다. 만져지지 않는 크기의 섬유종은 제거하지 않습니다.

 

8. 폐경 후 호르몬 치료와 유방암

폐경 후 호르몬 치료와 유방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폐경 후 호르몬 치료가 유방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경 증상 완화를 위한 호르몬 치료가 여성호르몬 노출기간을 사실상 늘리게 되므로 유방암 위험을 감안했을 때 폐경 후 호르몬 치료는 5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방암의 진실유방암의 진실
유방암의 진실

9. 점 발생과 유방암

점 발생과 유방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점이 많은 사람의 유방암 발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간 더 높은 것은 맞지만 점이 새로 생기거나 많아지는 증상이 유방암의 전조증상이라는 것은 틀린 얘기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