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족구병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0. 3. 11:05

본문

수족구병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생후 6개월에서 5세 영유아들이 많이 걸리는 데 전염력이 매우 강합니다. 수족구병은 손, 발의 발진과 입안의 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4세 이하의 소아에게 발생합니다. 장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 바이러스 A16이나 엔테로바이러스 71에 감염되어 생깁니다.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은 뇌수막염이나 뇌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수족구병의 원인

수족구병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병은 주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수포의 진물 등으로 비말감염 되거나 분변 등에서 경구감염 됩니다. 감염된 사람과 접촉, 감염된 사람이 기침 또는 재채기할 떼 공기를 통해 확산되는 비말, 감염된 사람의 기저귀를 간 후 손을 씻기 전 눈, 코, 잎을 만지는 경우, 손잡이를 만진 후 손을 씻기 전 눈, 입, 코를 만지는 것과 같이 오염된 물건과 접촉하는 경우 발병합니다.

2. 수족구병의 증상

수족구병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병의 일반적인 증상은 발열입니다. 이 질환은 목젖 주변을 포함한 연구개 부위에 점막 궤양이 잘 생깁니다. 혀, 입천장, 잇몸, 입술 등에 생기기도 합니다. 궤양의 크기는 4-8mm 정도이고, 통증이 매우 심합니다.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입안이 맵다고 합니다. 영아기 보다 어린 나이에 발병할 경우 음식을 먹지 못하고, 침을 삼키지 못해 많은 침을 흘립니다. 발진은 손등과 발등에 생기고 붉은색을 띤 물집 형태를 하고 있으며, 고열이 동반됩니다.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3. 수족구병의 진단 및 치료

수족구병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병은 증상 및 피부병변을 보고 진단합니다. 병변이 입에만 있는 경우 헤르페스바이러스감염증과 구별해야 합니다. 인후 또는 대변으로부터 채취한 물질 검체를 실험실로 보내 배양과 검사를 합니다.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에 의하여 생기는 병입니다. 항바이러스제 등의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고 증상을 줄이는 치료만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대부분 3-7일 내에 사라지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됩니다.

 

증상이 심한 급성기에는 입안의 통증 때문에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못하여 탈수가 올 수 있고, 심하면 쇼크나 탈진현상이 올 수 있으므로 물을 조금씩 섭취합니다. 먹는 양이 많이 줄어 탈수가 심해지면 병원에서 수액을 공급합니다. 심한 탈수가 생기면 소변량과 소변 횟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울어도 눈물이 나지 않으며 혀와 입술이 바짝 마르며, 눈이 움푹 들어가기도 하며 피부를 잡았다 놓았을 때 피부가 원상태로 돌아가는 속도가 늦어집니다.

 

진단을 받은 아이가 38도 이상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39도 이상의 고열, 구토, 무기력증,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합병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증상과 함께 수족구병이 심해지면 뇌염, 신경마비, 사망까지 이르는 심각한 합병증 일 수도 있습니다. 열이 나면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 주거나 해열제로 열을 식히고, 입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타이레놀이나 부루펜 같은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입속의 궤양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면 부분마취제를 뿌려서 통증을 완화시키고 미음이나 죽 등 액상음식을 먹도록 합니다.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4. 수족구병의 예방

수족구병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을 깨끗이 하면 감염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보호자는 기저귀를 간 후 손을 씻습니다.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대분분의 감염은 사람 간 전파, 특히 감염된 대변과의 직접 또는 간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므로 배변 후 비눗물로 손을 씻어 청결히 합니다. 아이들이 가지고 논 장난감, 집기, 놀이기구 등을 깨끗하게 소독하고 키즈카페와 같이 어린이들이 많은 공간에서는 손 세정제를 사용합니다.

 

 

수족구병이 의심된다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단체생활을 하는 곳을 피해야 하며 다른 아이들에게 감염이 확산될 수 있으므로 병이 나을 때까지 외출을 자제해야 합니다. 기침은 감염병을 공기를 통해 전염시키는 요인입니다. 기침을 할 경우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나 손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합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키스와 포옹, 식기 또는 컵 공유와 같이 긴밀한 접촉은 피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수족구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수족구병의 증상및 예방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05
난청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04
천식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02
치질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01
뇌전증의 증상과 예방  (0) 2023.09.2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