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눈으로 들어온 빛은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게 되는데, 백내장은 이러한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보이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60세 이상이 되면 전체 인구의 70%, 70세 이상은 90%가 백내장 증상을 경험합니다. 수정체가 조절력을 상실하여 초점을 맞추지 못해 돋보기 및 안경의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을 노안이라고 하고, 수정체가 노화되어 혼탁해지면서 점차 뿌옇게 보이는 질환을 백내장이라고 합니다.
백내장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원인 불명이며 유전성이거나 태내 감염, 대사 이상에 의한 것도 있습니다. 후천성 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년 백내장이 가장 흔하며, 외상이나 전신질환, 당뇨병, 포도막염, 피부질환, 자외선 과다노출, 부신피질호르몬과 같은 약물의 과용, 비타민E 결핍, 과음이나 흡연, 눈 속의 염증에 의해 생기는 백내장도 있습니다.
백내장의 종류 및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백내장에는 노인성 백내장, 외상성 백내장, 합병성 백내장, 후발성 백내장, 선천성 백내장이 있습니다. 노인성 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투명성을 잃어가는 질환으로 50세가 넘어가면 모든 사람에게서 백내장이 시작됩니다. 백내장이 있어도 시력이 좋은 사람은 수술이 필요 없습니다. 외상성 백내장은 외상으로 수정체가 파열되거나 파열되지 않아도 타박으로 수정체가 혼탁이 오는 경우를 말하며 망막 등에 손상이 있어 수술 후에도 시력회복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합병성 백내장은 만성의 심한 각막염, 홍채 모양체염, 녹내장, 망막박리, 유리체 변성 및 출혈에 합병되어 수정체 혼탁이 오는 경우를 말하며 수술 후 합병 질환에 따라 시력회복 여부가 결정됩니다. 후발성 백내장은 대부분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것으로 인공수정체를 넣은 수정체 나이에 혼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원인 불명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 빨리 수술하는 것이 좋으며 수술하더라도 아주 좋은 시력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수정체 혼탁의 위치와 정도, 범위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시력 감소가 나타납니다. 부분적인 혼탁이 있을 경우에는 단안복시(한쪽 눈으로 봐도 사물이 두 개 겹쳐 보이는 증상)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정체 핵(중심부)의 딱딱해짐으로 수정체의 굴절률이 증가하면 근시상태가 되므로 근거리가 이전보다 잘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노안이 와서 잘 안 보이던 신문이 잘 보이게 되었다면 눈이 좋아진 것이 아니라 백내장으로 인한 증상으로 봐야 합니다. 의사표시를 잘 못하는 소아에게 선천성 백내장이 발생하면, 한 곳을 주시하지 못하고, 불빛을 따라가지 못하며, 눈이 사방으로 흔들리고, 눈을 찡그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백내장이 발생하면 시력저하가 나타납니다. 낮에는 눈부심 증상이 동반되고 정도에 따라서 낮이나 밝은 곳보다는 어두운 곳이나 밤에 잘 보이기도 합니다.
백내장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시력감소가 있을 때 안과검사로 진단합니다. 동공을 확대시켜 수정체 혼탁의 정도와 위치를 확인하여 백내장 진단을 합니다. 백내장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약물치료만으로 혼탁이 발생한 수정체가 다시 맑아지지 않습니다. 백내장 진행을 느리게 해주는 안약의 효과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백내장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을 경우 수술을 하게 됩니다. 수술은 초음파로 혼탁이 생긴 수정체의 내용물을 제거한 후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백내장은 서서히 진행되므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을 정도의 증상일 때 수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백내장 자가진단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현재 50세 이상이다
- 눈이 침침해진 느낌이다
- 시야가 뿌옇고 답답하다
- 사물이 겹쳐 보인다
- 밝은 곳을 보면 퍼져 보이거나 눈이 부시다
- 밝은 곳에서 근거리 시력이 저하된다
- 실내 혹은 어두운 곳에서는 시력이 향상된다
- 안경, 돋보기를 써도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 돋보기를 쓰지 않았는데 근거리 시력이 향상된다
위의 문항 중 4개 이상 해당되거나 최근 시력 변화를 느꼈다면 백내장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자외선을 여과하도록 선글라스를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금연, 금주를 합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혈당수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합니다. 비타민 A와 C 가 풍부한 식사와 카로티노이드가 함유된 시금치와 케일 등 녹색잎채소를 많이 섭취합니다.
이상으로 백내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우울증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0.07 |
---|---|
척추측만증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0.06 |
난청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0.04 |
수족구병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0.03 |
천식의 증상 및 예방 (0) | 202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