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2. 20:12

본문

목디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경추추간판탈출증인 목디스크는 목 뼈와 뼈사이의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이탈되어 신경을 압박하거나 뼈조직이 비정상으로 자라서 목을 지나가는 척추 신경이 눌려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40~50대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컴퓨터를 시작하는 나이가 점점 어려져 최근에는 20~30대에도 목디스크 환자가 급증하였습니다.

 

1. 목디스크의 원인

목디스크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의 사용, 오랜 시간 책을 보는 것, 스마트폰 등으로 목뼈의 C자형 곡선이 일자목이 된 경우,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모니터를 향해 목을 쭉 내미는 습관, 한쪽으로만 물건을 들어서 몸의 균형을 깨는 경우, 바르지 않은 자세로 앉거나 오래 앉아 있는 경우, 목의 힘이 과하게 들어가는 운동, 체형에 맞지 않는 베개 사용으로 밤새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척수를 압박하는 경우가 원인입니다.

 

2. 목디스크의 증상

목디스크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팔, 손 전체에 통증이 있습니다. 손가락의 감각이 둔해져 젓가락질이 힘들거나 글씨 쓰기가 불편하고 옷의 단추를 채우기가 힘듭니다. 손의 힘이 약해져 물건을 들고 있다가 자기도 모르게 떨어뜨립니다. 팔 전체가 저리기보다는 한쪽 팔의 특정 부위만 저리고, 손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예민해지는 등의 이상이 생깁니다. 걸을 때마다 다리가 휘청거리고 통증이 없는데도 어깨를 들어 올릴 수 없습니다. 대소변 장애가 있고 팔을 양쪽으로 벌린 상태에서 머리를 눌러보거나, 머리를 누른 후 좌우로 고개를 돌렸을 때 통증이 심합니다.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3. 목디스크의 진단 및 치료

 

목디스크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뼈는 위로는 머리, 아래로는 허리뼈와 연결되어 뇌로 혈액을 공급하고 온갖 신경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팔이나 손의 근력 약화, 감각 저하 또는 저린감이 있으면 목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으며 X-레이나 CT 등으로 검사하여 진단합니다.

 

 

가벼운 증상인 경우에는 약물치료, 보조기 사용으로 충분하며, 온열치료, 심부초음파 치료, 전기자극치료, 경추부 견인 등의 물리치료가 효과적이며 심한 경우 수술을 합니다. 수술은 3개월 이상 비수술적 치료를 하여도 효과가 없거나 통증이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많은 경우, 신경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근력약화가 동반되는 경우, 큰 추간판의 탈출로 중추신경인 척수가 압박받아 척수증이 있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4. 목디스크의 예방

 

목디스크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잠을 잘 때 가능하면 낮고 말랑말랑한 베개를 사용하고, 책을 읽을 때에는 책상 위에 책받침대를 사용하여 눈높이에 책이 위치하게 합니다. TV나 모니터 앞에 너무 오래 앉아있거나 한 곳을 응시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30분에서 1시간마다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합니다. 무거운 짐을 머리에 이거나 머리를 바닥에 대고 물구나무서는 것, 목을 옆으로 세게 회전시키면서 목에서 소리를 내는 것도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아웃증후군 알아보기  (0) 2024.02.04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3
부신종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1
크론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31
루푸스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2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