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2. 3. 17:59

본문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오십견이라 불리는 유착성 관절낭염은 주로 40~60세 사이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어깨 질환으로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으로 인한 유착현상을 말합니다.

 

 

 

정확한 손상기전은 불분명하나 대부분 과사용에 의한 마찰과 그로 인해 생기는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습니다.

 

 

1. 유착성 관절낭염 원인

유착성 관절낭염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노화로 인해 연골이 닳거나 상할 경우, 잘못된 자세와 습관, 유전적 문제, 외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 갑상선기능저하, 뇌출혈, 심장 관련 시술, 추간판 관련 질환, 유방암, 갑상선암과 관련하여 발병하고, 어깨의 통증과 운동범위의 제한이 있다는 증상은 회전근개파열과 유사하나, 회전근개파열은 어깨의 힘줄이 끊어져 발생하는 질환임에 비해 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 관절부위의 염증과 유착에 의해 발생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 유착성 관절낭염의 증상

유착성 관절낭염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깨관절에 통증을 느끼며, 어깨를 들어 올리거나 팔을 뒤로 젖힐 때까지 삐끗하는 느낌이 들면서 아픕니다. 옆으로 눕기가 어렵고, 밤에 통증이 더 심해지고 어깨와 팔의 능동적 및 수동적 가동범위가 줄어듭니다. 운동범위의 감소로 머리빗질, 얼굴 씻기 등이 힘들며, 선반 위의 물건을 집기가 어렵습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3. 유착성 관절낭염의 진단 및 치료

 

유착성 관절낭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의사가 환자의 어깨와 팔을 잡고 움직이는 수동 운동범위 검사를 시행하면서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회전근개파열에 비해 유착성 관절낭염은 수동적 운동제한이 크게 나타납니다. MRI 검사로 관절면의 유착정도나 파열정도를 보고 진단합니다. 오십견은 통증을 줄이고 어깨의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치료가 진행되고 통증이나 굳어진 정도가 심할 경우 주사요법을 병행합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도수치료로 물리치료사의 수기로 연부 조직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운동치료는 어깨를 풀어주는 운동인 도르래나 T 바를 이용하여 스트레칭을 진행하여 관절운동범위를 회복시킵니다. 시술치료는 관절수동술로 어깨를 국소마취한 후 유착이 있는 어깨 관절에 유착방지제를 주입하고, 의사가 환자의 어깨와 팔을 체계적 순서에 따라 움직여 주면서 가동범위를 정상화시킵니다. 관절 안에 소염제 유착방지제 생리 식염수 등을 넣고 관절낭의 유연성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절수동술과 병행합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4. 유착성 관절낭염의 예방

유착성 관절낭염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노화, 운동 부족,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열찜질과 같은 온열요법과 어깨체조 및 적절한 운동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10~15분 정도 따뜻한 물에서 사우나를 실시하고 어깨가 만성적으로 굳어있는 경우에는 운동 전에 열찜질을 해주는 것이 관절가동범위를 넓혀 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 후에는 얼음찜질을 하는 것이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데 도움이 되므로 15~20분 실시합니다. 동일한 자세를 장시간 취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10분 정도 어깨 근육을 이완시켜 주기 위한 목, 어깨, 등 부위의 가벼운 체조를 하고, 하루 1시간 이상 걷기, 달리기, 수영 같은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합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암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5
번아웃증후군 알아보기  (0) 2024.02.04
목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2
부신종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1
크론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3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