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협착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피가 유출되는 부위에 있는 판막인 대동맥판막이 좌심실이 수축할 때 잘 열리지 않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선천적으로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정상적인 판막에 후진적으로 구조적 병변이 생겨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열, 피부발진, 관절통으로 입원했다가 심장판막이 손상되는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 경우가 있고, 여성의 경우 임신이나 출산 전후로 심한 호흡곤란을 겪기도 합니다. 퇴행성 변화에 의한 판막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협착의 정도가 중등도 이하이면 증상을 느끼는 경우가 매우 드물고, 협착의 정도가 중증이더라도 일상생활을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협착의 정도가 심해지면 흉통, 실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수술하지 않으면 대부분 2~5년 내 사망합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맥판막협착은 심초음파 검사와 도플러 검사를 이용하여 진단합니다. 대동맥판막협착을 개선해 주는 약물은 없습니다. 대동맥판막 협착은 대부분 손상된 판막을 제거하고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인공판마 치환술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판막을 치환하기 위해서는 심장을 여는 개심술을 시행합니다. 개심술을 받는 동안 심장을 정지시키고 심폐기능을 대신하여 혈액을 순환시키는 인공 심폐기를 이용합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혈압을 관리해야 합니다. 혈압이 높으면 혈압약을 복용하며 혈압을 낮춰야 합니다. 저염식사를 합니다. 부종을 제거하고 적절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소금 섭취를 제한합니다. 음식을 만들 때 소금, 간장, 고추장, 된장 등과 같은 모든 양념류를 1/3 이하로 줄이고 라면, 햄, 소시지, 통조림, 피자, 햄버거, 후라이드치킨 같은 인스턴트식품과 가공식품은 섭취를 제한합니다.
장아찌, 젓갈, 자반, 굴비 같은 절임 생선류의 섭취를 줄이고 조미료의 사용을 피합니다. 심장의 부담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체중을 정상이거나 약간 적은 체중으로 유지합니다. 10~20분간 하루에 3~4회 평지를 걷거나 고정식 자전거를 이용해 가볍게 운동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혈압을 낮추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습니다.
노로바이러스 장염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1 |
---|---|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0 |
뇌질환과 베타아밀로이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8 |
물 마시기도 힘든 구내염 알아보기 (0) | 2023.12.17 |
다한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