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2. 20. 21:00

본문

만성콩팥병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성콩팥병은 지속적으로 소변으로 단백질이 나오거나(단백뇨), 콩팥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가 지속적으로 단백뇨가 나오면 만성 콩팥병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조기발견으로 만성콩팥병이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만성신부전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말기신부전은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콩팥기능이 현저히 감소되어 투석 또는 이식과 같은 콩팥을 대치하는 요법을 받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1. 만성콩팥병의 원인

만성콩팥병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성콩팥병의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입니다. 전체 환자의 70% 이상이 두 질환에 의한 것입니다. 당뇨병은 혈당이 높아 몸의 여러 장기, 특히 콩팥과 심장 그리고 혈관, 신경, 눈에 손상을 초래합니다. 고혈압 환자가 혈압을 조절하지 않거나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경우 만성콩팥병의 중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만성콩팥병의 증상

만성콩팥병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콩팥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심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적절한 검사를 하지 않으면 말기신부전 직전에 도달할 때까지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로감을 잘 느끼고 기운이 없거나,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식욕이 감소하고 수면장애와 밤에 쥐가 잘 납니다. 발과 발목이 붓고 주로 아침에 눈이 푸석푸석합니다. 소변을 자주 보고 특히 밤에 심한 증상이 있습니다.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3. 만성콩팥병의 진단 및 치료

 

만성콩팥병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구체여과율은 콩팥이 요독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체내에서 제거하는지 알려주는 검사 수치로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나이, 성별 등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90~120ml/분 이상이며, 사구체 여과율이 60ml/분 이하일 경우 신장질환을 의심합니다. 혈청크레아티닌, 요단백, 초음파 등으로 진단을 합니다.

 

 

만성콩팥병은 원인질환의 치료, 고혈압 치료, 생활 습관, 합병증의 치료 등이 있습니다. 만성콩팥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원인이 되는 질환을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신장 기능 보존에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고혈압은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신장기능의 저하를 막는데 중요하므로 저염식이와 혈압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및 부종을 막기 위한 저염 식사와 저단백 식사가 도움이 됩니다. 금연을 하고 진통제, 소염제, 생약제재 복용에 주의를 합니다.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4. 만성콩팥병의 예방

 

만성콩팥병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과 당뇨병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과체중이거나 비만하면 만성콩팥병을 일으키는 당뇨병, 고혈압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콩팥 주변에 지방이 쌓여 콩팥을 누르고 사구체 비대를 일으켜 콩팥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비만 환자가 체중을 줄이면 혈압이 조절되고 만성콩팥병 위험인자인 단백뇨가 감소되어 콩팥 기능이 좋아집니다. 음식은 싱겁게 먹도록 합니다. 짜게 먹으면 혈압이 높아지고 콩팥에 좋지 않으므로 현재 섭취하는 소금양의 절반 이상 줄여야 합니다. 소금 섭취를 줄이려면 소금이 많이 들어있는 국이나 찌개 대신 보리차나 숭늉을 먹고 조리할 때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의 양을 조금씩 줄여 담백한 맛에 익숙해지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