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 발생하는 3대 리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은퇴를 앞둔 세대는 노후에 발생할 리스크에 대하여 생각을 해보아야 합니다.
축적된 재산을 유지하고 보전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예상하지 못한 일로 한순간에 엎어지거나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료비 리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건강수명, 즉 전체 평균수명 82.4세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고통받는 기간을 제외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기간이 76.4세입니다. 이처럼 노후에는 질병을 맞이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노후 질병이 재무적인 측면에서 위험한 이유는 일정 연령이 되면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오래 살수록 그 위험의 정도가 급증하며, 질병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입니다.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을 잘 활용하여야 합니다.
은퇴 후 의료비가 1천만 원 발생할 경우 건강보험공단에서 63%(630만 원), 나머지 37%(370만 원)는 개인이 부담합니다. 개인부담분은 건강보험급여대상 의료비 20%, 비급여의료비 17%입니다. 노후의료비 부담은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부분을 잘 준비해야 합니다. 노후의료비 보장 중심으로 재검토하고 중복보장으로 인해 과도한 보험료 지출이 없는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자녀부양 리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은퇴세대는 성인이 된 자식 뒷바라지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경기침체와 비혼과 만혼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더해져 부모와 불편한 동거를 하는 성인자녀가 늘고 있습니다. 동거를 하지 않더라도 경제적으로 의지하는 성인 자녀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닙니다. 미국도 대학졸업 후 취업을 못해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 곁에 머무는 자녀가 많아서 이들을 낀세대라는 의미로 TWIXTER라고 부릅니다.
캐나다에서는 직업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은 집으로 다시 돌아오는 부메랑 키즈, 영국은 부모 퇴직연금을 축낸다는 KIPPERS, 이탈리아는 엄마가 해주는 음식에 집착한다는 맘모네 mammone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학교 졸업 후 취업을 못해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층을 캥거루족이라 합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부양기간과 지원범위를 자녀와 함께 정하는 방법이 있고, 소규모 청년창업의 방법이 있습니다. 취업이 어려우니 소규모 청년창업이 늘고 있습니다. 자녀에게 사업계획서를 요구하고 자금을 한꺼번에 지원하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지원하며, 부모가 아닌 채권자로 계약서를 작성하여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금융사기 리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언론보도를 보면 은퇴자들이 금융사기를 당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은퇴자들은 퇴직금과 유동자산이 다른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고 금융시장의 변화에 둔감한 상황에서 줄어든 고정 수입을 보충하고픈 마음에 고수익 상품에 대한 욕구가 커져 금융사기범의 희생양이 됩니다. 금융사기를 당하기 쉬운 유형은 50대 후반의 기혼자, 자신의 판단과 금융지식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낙관적인 성격의 소유자, 새로운 생각이나 판매 선전에 귀가 솔깃한 사람, 최근에 건강 또는 금융상 어려움을 겪은 사람이 금융사기를 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융사기 예방 5가지 행동지침을 살펴보면,
첫째, 아는 사람을 조심합니다. 이들은 고객의 이익보다 금융기관이나 종사자의 이익을 우선 시 합니다.
둘째, 금융업에 종사하는 개인이 제공하는 보고서보다 금융기관의 보고서를 받아야 합니다. 개인이 작성한 고수익을 보장하는 보고서를 믿고 투자하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고수익을 보장하는 약속 뒤에는 대부분 고객의 자금을 유용할 의도가 감춰져 있습니다.
셋째, 배우자의 사망이나 이혼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을 때 어려움을 악용하는 사람들을 조심해야 합니다. 돈과 관련된 도움의 손길은 주변 사람과 충분히 결정하고 채근하는 사람은 다른 목적을 의심해야 합니다.
넷째, 장점만 있는 금융투자상품은 없습니다.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할 때는 그 상품의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한 후 투자를 결정합니다. 고수익을 확정보장하거나 마감임박이라면 금융사기를 의심해야 합니다.
전세계약시 꼭 확인해야할 5가지 (0) | 2024.03.04 |
---|---|
양도세 절세를 위한 세대 분리 또는 합가 알아보기 (0) | 2024.03.03 |
부동산계약 실수는 누구의 책임일까? (0) | 2024.03.01 |
고지혈증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거절 (0) | 2024.02.29 |
2030 목돈마련 끝판왕 알아보기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