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대장 내시경이나 엑스선 검사로 확인되는 특정 질환은 없지만 식사나 가벼운 스트레스 후 복통, 복부 팽만감과 같은 불쾌한 소화기 증상이 반복되며, 설사 혹은 변비 등의 배변 장애 증상을 가져오는 만성적인 질환을 말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내장감각의 과민성 증가, 위장관 운동성의 변화, 위장관 팽창도 감소 등이 원인입니다. 정신적 스트레스는 과민성 대장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인구의 7~15% 정도가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의심되는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증상으로는 복통과 배변 습관의 변화를 들 수 있는 데 복통이 심하더라도 배변 후에는 호전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점액질변, 복부팽만이나 잦은 트림, 방귀, 전신 피로, 두통, 불면, 어깨 결림 등의 증상도 나타나지만, 이러한 증상이 수개월 또는 수년간 계속되더라도 몸 상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특징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변검사, 대장 내시경, 혈액 검사 등의 여러 가지 기본적인 검사를 통해서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원인 질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식사나 가벼운 스트레스 후 복통, 복부 팽만감 등이 반복되어 만성적으로 나타나거나, 설사나 변비와 같은 배변 장애 및 배변 후에도 잔변감으로 인한 불쾌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체중감소, 혈변, 빈혈 등의 경고 증상이 동반되거나 50세 이상에서 증상이 처음 생긴 경우 대장 내시경 검사, 복부 CT 검사, 소장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심리적 불안과 갈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가 본인의 병을 잘 이해하고 대장에 심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음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편안한 마음가짐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적당한 운동과 휴식을 취합니다. 약물치료는 장의 예민도를 떨어뜨리는 진경제, 변비에 효과적인 부피 형성 완화제 등의 약제를 사용하며 신경안정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먼저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줄일 수 있도록 생활패턴을 바꾸고, 적절한 운동과 휴식을 취합니다.
걷기는 장 운동을 활성화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담배, 술, 카페인, 매운 음식, 농축 과일주스, 생과일이나 야채류, 기름진 음식 등을 섭취하는 데 주의를 해야 합니다. 하루 10컵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하고 섬유질 보충제를 복용합니다. 섬유질은 장운동을 개선시키므로 증상에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시도때도 없이 소변이 마려운 이유 (0) | 2023.11.30 |
---|---|
이상지질혈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9 |
자궁근종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7 |
흉통(가슴통증) 알아보기 (0) | 2023.11.26 |
평발의 증상 및 치료 알아보기 (0)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