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흉통은 가슴 부위에 느껴지는 통증, 또는 불편한 증상을 통틀어 말하는 데 일시적이고 가벼운 질환부터 신속한 치료가 뒤따르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병까지 존재합니다.
흉통은 심장 및 폐의 이상뿐 아니라 가슴 부위의 피부, 근육, 연골, 뼈의 이상, 큰 혈관의 이상 등으로 흉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식도 혹은 위의 염증, 담낭의 이상 등도 가슴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흉통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장 및 혈관과 관련된 원인으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대동맥박리 등이 있습니다. 호흡기계 원인으로는 폐색전증, 흉막염, 폐렴과 늑막염 등이 있습니다. 소화기계 원인으로는 역류 식도염, 위염, 위궤양 등이 있습니다. 근골격계 원인은 흉통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가슴을 이루고 있는 근육이나 근육막이 늘어나면 숨을 깊게 쉬거나 몸을 움직일 때, 가슴을 누를 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가슴을 부딪히거나, 움직이다 삐끗하거나, 교통사고, 염좌, 갈비 연골염 등이 가장 흔하며,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으로 인해 갈비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져서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심리적인 압박감이나 스트레스 혹은 아무 이유 없이 심장이 뛰고 어지럽고 숨이 멎을 것 같은 느낌을 경험하면 공황장애라는 심리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흉통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짓눌리는 또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숨 가쁨, 발한, 메스꺼움 또는 구토, 등, 목, 턱, 상복부 또는 어깨나 팔 중 한 곳의 통증, 가벼운 어지러움 또는 실신, 빠르거나 불규칙한 심박동의 느낌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흉통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자의 증상과 병력에 대해 묻고 나서 신체검사를 합니다. 맥박산소측정, 심전도 검사, 흉부X레이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치료방법은 원인이 분명한 양성이면 병원에 입원하거나 심장 모니터링을 위한 관찰단위 및 더욱 광범위한 평가를 받게 됩니다. 통증은 진단이 내려질 때까지 아세트아미노팬,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필요에 따라 아편 유사제로 치료합니다.
흉통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흉통은 소화와 관련된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데 주로 가슴 부위에 관련 기관이 있어서 협심증과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통증은 앞가슴과 등 쪽, 명치끝 부위가 타는 듯하게 느껴지며, 누운 자세나 숙인 자세에서 약화되며 우유나 물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경감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갈비뼈 골절, 갈비와 연결된 늑연골에 발생하는 염증에 의해서 발생하는 흉통은 상체를 움직일 때마다 통증과 함께 뚝소리가 나며 호흡 시 가슴이 바늘에 찔리는 듯한 통증을 느끼며 아픈 곳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더 심해진다는 점이 심장질환에 의한 통증과는 구별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금연하고,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 음식은 싱겁게 먹고, 채소, 과일과 생선을 충분히 섭취하고, 하루 30분 이상의 운동과 적절한 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겁게 생활하며 적절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의 유지, 응급상황 발생 시에 할 수 있는 기본 심폐술 교육의 습득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흉통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알아보기 (0) | 2023.11.28 |
---|---|
자궁근종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7 |
평발의 증상 및 치료 알아보기 (0) | 2023.11.25 |
혈관성 치매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4 |
저체온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