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1. 19. 22:15

본문

겨울식중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식중독은 음식에 들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되어 구토, 두통, 어지럼증, 설사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부분 2~3일 안에 호전되지만, 면역력이 부족하면 일주일 넘게 증상이 계속되거나 장염으로 악화하기도 합니다.

 

 

 

1. 겨울식중독 발생

겨울식중독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식중독은 기온이 높아 세균 등이 번식하기 좋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지만, 한겨울에도 방심해서는 안됩니다. 낮은 기온에서 잘 번식하고 감염력이 매우 강한 노로바이러스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병원을 찾은 식중독 환자 수도 봄이나 가을보다 한겨울에 더 많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2022년 한 해 식중독 환자 수는 약 3만 2천 명입니다. 병원을 찾은 사람이 이 정도이므로 실제 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해마다 늦가을인 10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다음 해 봄철까지 환자수가 많습니다. 최근 5년간의 감염 현황을 살펴보면 매년 증가하다가 코로나 발생 이후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키다가 유행이 지나면서 점차 이를 소홀히 한 이유로 노로바이러스가 영유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
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

 

3. 노로바이러스 증상

 

노로바이러스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소화기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빠르게는 12시간, 늦어도 이틀 안에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증상이 나타납니다. 복통, 오한, 발열, 근육통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주된 감염경로는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나 음식을 먹을 때인데, 음식은 특히 어패류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오염된 지하수로 씻은 과일이나 채소 등을 먹었을 때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와 접촉했을 때도 감염이 가능할 정도로 감염력이 매우 강합니다. 면역 유지 기간이 짧아 재감염되는 사례도 많습니다.

 

 

4. 노로바이러스 치료

노로바이러스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연령대로 살펴보면, 0~6세가 39%, 65세 이상 20%, 7~18세 16% 순입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식중독이 생기면 가장 심한 증상이 구토입니다. 식중독의 원인균이나 독소 등이 위장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구토나 설사는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독소를 배출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라면 지사제 등을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설사를 멈추는 지사제가 오히려 독소 배출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이온음료나 당분이 포함된 음료 등을 보충해야 합니다. 탈수 증상이 나타나거나 고열이 계속되면 장염 등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아서 치료를 받습니다.

 

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
겨울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건강법 알아보기  (0) 2024.01.22
섬유근육통 알아보기  (0) 2024.01.21
특발성 폐섬유화증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18
자율신경실조증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17
흉선암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1.1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