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0. 28. 10:31

본문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주로 척추를 침범하는 관절염의 일종으로 강직성은 굳다 뻣뻣하다는 뜻이며, 척추염은 등뼈의 염증을 말합니다.

 

 

척추에 발생한 염증이 서서히 진행하며 척추관절이 굳어지고 구부릴 수 없게 되는 질환입니다.

 

 

1.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강직성 척추염과 관련 있는 유전인자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견되므로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세균 감염으로 인한 면역체계를 혼란시키는 세균 감염도 원인입니다.

 

 

2.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16-35세 사이의 젊은 남성에게서 발생합니다. 관절염은 대부분 등뼈나 골반뼈가 만나는 곳에서 시작되어 처음에는 허리나 엉덩이에 통증이 나타나며, 휴식을 취하거나 자고 난 뒤 더 심하고 활동을 하면 통증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추, 목, 가슴으로 침범하여 척추전체가 굳어지고 갈비뼈가 달라붙어 호흡도 어려워집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전신성 질환이므로 엉덩이와 어깨, 무릎, 발목 등의 관절도 침범할 수 있으며, 열이 나거나 식욕상실, 피로감이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이 생기면 눈의 염증, 염증성 장염, 건선, 심장판막질환, 신장질환, 만성 염증성 장 질환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3. 강직성 척추염의 진단 및 치료

강직성 척추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자의 증상과 천장골관절의 변화를 관찰을 통해 진단합니다. 유전인자 검사도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 자가진단법은 3개월 이상 엉덩이 관절이나 엉덩이 부위에 한쪽씩 번갈아가면서 통증이 나타나고, 아침에 척추 통증과 뻣뻣함 때문에 목, 허리, 골반, 고개가 잘 숙여지지 않다가 활동을 하면서 점심때쯤 나아지면 강직성 척추염을 의심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는 통증의 경직을 줄이고 변형을 예방하며 환자가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여러 관절염 중에서도 재활치료의 효과가 좋은 질환이며 사회활동에 문제가 없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복용하여 증상을 감소시키고 운동과 좋은 자세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설파살라진이나 메토트렉세이트 등과 같은 2차 약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엉덩이나 어깨관절이 심하게 손상되면 인공관절수술을 하고, 등뼈가 심하게 구부러지면 등뼈를 펴는 수술을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4. 강직성 척추염의 예방

규칙적인 운동은 강직성 척추염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좋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등과 목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유산소 운동을 하여 호흡기능을 유지합니다. 수영이 좋습니다. 수영은 목, 허리 어깨 등 관절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호흡운동을 촉진시키며 관절운동감소와 자세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유형, 배영이 좋고 매일 아침 40-50분 정도 꾸준히 하고 일주일에 4일 이상 합니다. 자전거 타기나 배드민턴, 테니스 등도 효과적이지만 운동 중 관절을 다치지 않게 조심하여야 하며 축구, 농구, 배구 등의 경기는 다른 사람과 부딪혀 관절이 다칠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체적 접촉과 충격 가능성이 높은 유도, 검도 등의 격투기 등은 피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운동 부위의 통증은 뼈가 부러지거나 다친 경우이거나 관절의 염증이 심해진 경우가 의심되므로 즉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평상시 등뼈를 곧게 펴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베개는 가급적 낮은 것을 사용하고 다리를 곧게 펴도록 합니다. 잠자리는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이나 딱딱한 침대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새우잠을 자거나 발을 베개 위로 올려놓고 자는 습관은 좋지 않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폐를 침범하기도 하고 가슴이 안 벌어지기도 하므로 금연이 필수입니다. 승차 중에는 항상 좌석벨트를 매고 머리를 받침대에 대도록 하여 목뼈와 등뼈가 충격을 받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강직성 척추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및 예방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하수체졸중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30
루게릭병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29
침샘암의 증상 및 예방  (0) 2023.10.27
전신홍반성루푸스 증상및 예방  (0) 2023.10.26
탕후루와 건강관계  (0) 2023.10.2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