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ADHD 환자 급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집중력 저하를 호소하는 2030 세대가 늘고 있습니다.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으로 스마트폰이 지목됩니다.
수시로 울려대는 메신저 알람과 SNS에 올라온 새 게시물 확인, 영상 시청으로 시간을 보내며 일상이 통제 불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 3~69세 스마트폰 이용자 2만 4637명 가운데 23.6%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해당하고 이중 74%는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못하면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 시청뿐 아니라 게임, SNS, 온라인 쇼핑 등 일상 전반을 스마트폰과 함께 보내면서 주의력 결핍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숏폼 중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분짜리 짧은 동영상인 숏폼 콘텐츠의 중독성이 커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숏폼 영상 탓에 아동 청소년들의 정보 처리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고 2030 세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도 때도 없이 잡생각이 들어 아무것도 못하고 여러 시간을 틱톡을 보는 게 일상인 사람들이 늘고 있고 아무것도 못하여 자존감이 낮아져 업무를 실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성인 주의력 결핍 ADHD로 의심되고 있습니다.
성인 ADHD 문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 과잉행동, 학습 및 수행 능력 저하 등 ADHD의 주요 증상이 2030 세대가 경험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고 준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고, 책을 읽거나 대화하는 도중 쉽게 주의가 분산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병원을 찾는 20~30대 ADHD 환자가 급증하여 20대는 3만 3672명, 30대는 1만 6376명으로 2018년 대비 4배에서 7배 증가한 추세입니다. 계획한 일을 성취하지 못하는 경험이 지속되면 무능감, 우울, 불안이 원인이 되어 다시 집중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심리상담이나 약물치료 등으로 해결하여야 합니다.
이상 30대 ADHD 환자 급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폐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4 |
---|---|
브레인포그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3 |
난소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1 |
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0 |
자궁경부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