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난소암은 자궁 양쪽에 위치하여 난포를 생산하고 여성호르몬을 만드는 난소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50~70세 사이에 제일 많이 발생합니다.
매년 1000~2000명 정도가 새로 발생하고 있으며, 자궁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여성암입니다. 난소암의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부분 3기 이상의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5년 생존율이 매우 나빠 40%가 되지 않습니다.
난소암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난소암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족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는 난소암에 유전성이 있다는 뜻으로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일 경우 음성인 경우보다 난소암에 걸릴 확률이 10배 이상 높아지므로, 반드시 정기적인 조기검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95% 이상의 난소암은 가족력과 무관합니다. 본인이나 가족이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 등의 과거병력이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유방암과 난소암은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 유방암이 생기면 난소암이 생길 가능성이 2배 높아지고 난소암이 있으면 유방암이 생길 가능성이 3~4배 많아집니다. 배란 횟수가 적을수록 난소암에 걸릴 위험은 낮아집니다. 임신은 난소암 발생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어서, 출산 횟수가 한 번이면 출산을 전혀 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약 10% 위험이 감소하고, 세 번 출산을 하면 난소암 위험도가 50%나 감소합니다. 출산 후 수유를 하는 경우에도 피임약이 배란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난소암의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고지방, 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석면과 활석 등 환경적 유발 물질 등도 난소암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난소암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초기에 진단되는 경우는 정기적인 산부인과 진찰을 받으러 왔다가 내진이나 초음파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난소암은 상당히 진행되어도 증상이 매우 경미하여 배에 딱딱한 것이 만져지거나, 복수가 차면서 배가 불러오거나, 소화가 잘 안 되고 더부룩한 증상 또는 배가 아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초기 진단이 되지 않고 대부분 늦게 암이 진행한 후에 발견되므로 정기적 산부인과 진찰이 조기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난소암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난소암은 증상이 미미하여 60% 정도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병원을 찾게 되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 번 반드시 부인암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의사가 진찰을 하여 난소가 커져 있는지 혹이 만져지는지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초음파 검사로 난소의 혹을 검사합니다. 난소암의 치료 방법은 수술로 가능한 모든 종양을 제거하고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수술 후 암세포가 퍼진 정도와 조직검사 결과를 통해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난소암의 경우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항암제를 잘 듣게 하기 위하여 모든 암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난소암은 조기에 발견될 경우 완치도 가능하지만, 대다수가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난소암은 다른 암보다 항암제가 잘 듣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 기간 생명을 연장할 수 있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항암제나 면역요법, 분자치료요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난소암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난소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 중 25%가 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전자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그중 가장 흔한 것이 BRCA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것입니다. BRCA 유전자는 미국 여배우 앤젤리나 졸리가 약 40%에 이르는 난소암 발생률을 고려하여 예방적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유명해진 인자로 80~90%의 난소암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난소암 조기 발견은 완치율이 90% 정도로 평소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사를 받고 고위험군이라면 4~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아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레인포그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3 |
---|---|
30대 ADHD 환자 급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2 |
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0 |
자궁경부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09 |
팝콘브레인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