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안전 전담 인력 확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부가 국가차원의 환자 안전 종합계획을 통해 국민들의 의식개선에 나섭니다.
이에 따라 환자 안전 캠페인에 연간 1만 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예정입니다.
환자 안전 전담 인력 배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고 예방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담 인력 배치율을 2027년 40% 이상으로 확대하고 환자 안전 R&D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해 시스템 고도화에 나섭니다. 환자 안전 보고학습시스템으로 사고정보 수집을 시작하고, 중앙 및 지역환자 안전센터를 설립, 의료기관 내 전담 인력을 배치하는 등 기초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으며, 기존 인프라를 강화하면서 환자 안전 문화를 확산 정착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대국민 환자 안전 인식 강화, 실효적 사고 예방 체계 구축, 최적의 환자 안전 기반 확보를 핵심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환자 안전 활동 참여 확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자와 보호자의 환자 안전 활동 참여를 확대하는 등 국민 참여를 활성화하고, 보건의료인에 대한 교육과 안전 체계를 정립하는 등 보건의료기관 역량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지원체계를 확충하는 등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3대 추진 전략과 7대 핵심과제를 추진합니다. 환자와 보호자, 일반 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자 안전 활동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육자료의 보급과 확산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2027년까지 환자 안전 캠페인에 연간 1만 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작년까지는 연간 430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지역환자 안전센터의 양적 질적 확대와 중소보건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 환자안전활동 역량 강화에 나섭니다. 중소보건의료기관의 환자 안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위원회 설치, 전담 인력 배치 대상 기관의 단계적 확대도 추진합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환자 안전 전담 인력 배치율은 지난해 기준 25%였는데 2027년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환자 안전 국가지원 체계 확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자 안전 문제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를 확충합니다. 중앙환자 안전센터의 역할 확대는 물론 국가 환자 안전 컨트롤타워 역량 강화에 나섭니다. 환자 안전사고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 산출을 위한 단계적 환자 안전 실태조사 시행 및 의료 관련 R&D로 개발된 의료기술의 안전성 등을 총괄하는 환자 안전 R&D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합니다.
국민의 환자 안전 활동 참여 활성화, 현장에서의 환자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 역량 강화,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 확충 등 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과제를 충실히 이행할 것입니다.
재건축 상가 지분 쪼개기 금지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30 |
---|---|
안심세트 지킴이 보급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9 |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0) | 2023.12.27 |
서울형 아이 돌봄비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6 |
디자인스타트업 창업 원스톱 지원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