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아이 돌봄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대표 사업으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유아조력자)에게 월 30만 원의 돌봄비를 지원하는 서울형 아이 돌봄비 사업이 9월 첫선을 보인 이후 시행 3개월 만에 4천 명 넘는 신청자가 몰리며 양육가정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아이 돌봄비 지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원 기준에 부합하는 3872명이 친인척 및 민간 도우미의 조력을 받으며 월 30~60만 원의 돌봄비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서울형 아이 돌봄비는 할아버지, 할머니뿐만 아니라 이모, 삼촌 등 4촌 이내 친인척 및 민간 도우미의 돌봄 서비스에 대해 돌봄비 1인 기준 월 30만 원씩 최대 13개월을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서울형 아이 돌봄비는 매달 1~15일 몽땅 정보 만능키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24개월 이상 36개월 이하의 아동을 키우며, 맞벌이 등 양육 공백이 있는 중위소득 150%(3인 가구 기준 월 655만 3천 원) 이하 가정입니다. 아동이 23개월이 되는 달에 지원 신청할 수 있으며, 대상 연령 아동 1인 기준 월 30만 원씩 최대 13개월간 지원합니다.
아이 돌봄비 지원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9월부터 신청을 시작하였으며, 11월 2414명이 첫 돌봄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지원 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98%가 서비스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친인척 육아 조력자 중에는 할아버지, 할머니가 96.5%로 가장 많고, 그 외에는 고모, 삼촌, 사촌 형제 등 다양한 친인척이 가정의 양육 공백을 줄이고 함께 아동을 키우는 데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아이 돌봄비 혜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용자들이 가장 만족하는 것은 손주 등을 돌보는 동시에 돌봄비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손주와 유대관계 및 애착 관계가 좋아진 것을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양육자들의 관심이 이어지면서 타 시도에서 정책 벤치마킹을 위한 문의가 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내년부터 친인척에게 아이 돌봄 수당을 지원할 예정이고, 경남, 부산 등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아이 돌봄비 부정수급 대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는 부정수급 방지를 위해 서울형 아이 돌봄비 모니터링단을 운영, 육아 조력자의 돌봄 활동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육아 조력자가 월 3회 이상 전화 모니터링 거부 시에는 돌봄비 지원을 중지하는 등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환자 안전 전담 인력 확대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8 |
---|---|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0) | 2023.12.27 |
디자인스타트업 창업 원스톱 지원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5 |
상암 월드컵공원 트윈휠 대관람차 알아보기 (0) | 2023.12.24 |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의 효과 알아보기 (0)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