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통풍의 증상과 예방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8. 27. 01:02

본문

통풍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왕이나 귀족같이 잘 먹고 잘 사는 사람, 뚱뚱한 사람에게 잘 생긴다고 해서 왕의 병이라고도 했습니다. 통풍은 혈액 내에 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이라는 물질을 인체에 대사하고 남은 산물인 요산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들러붙는 질병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재발성 발작을 일으키며 요산염 결정에 의한 통풍결절로 관절의 변형과 불구가 발생하게 됩니다.

 

통풍의 증상과 예방

1. 통풍의 원인

통풍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발병이 됩니다.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입니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는 것은 가족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할아버지, 아버지, 삼촌 등 가족이 통풍이 있다고 하면 본인도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술을 많이 먹는 사람, 비만한 사람, 폭식하는 사람, 신장에서 요산을 배설하여야 하는 데 신장이 기능을 못하여 요산이 배설이 안 되는 사람 등에서 통풍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겹쳐야 통풍이 생깁니다. 비만한 사람은 마른 사람보다 요산수치가 높게 나오므로 체중감량과 음식 먹는 것도 조심해야 합니다. 요산이 관절에 축적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요산은 고기나 생선에 많이 들어 있는 퓨린이라는 필수아미노산으로 이것은 우리 몸의 에너지로 사용되고 소변을 통해서 찌꺼기로 나오는 물질을 말합니다. 요산이 지나치게 많이 축적되어 생기는 병이 통풍입니다.

 

요산이 많이 축적되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요산을 생산하는 술, 고기, 생선을 너무 많이 섭취하여 요산이 몸속에 많이 쌓이는 경우와 둘째, 요산의 배설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몸에서 100개의 요산이 만들어지면 신장에서 100개를 내보내 줘야 하는 데 유전적으로 신장에서 5-60개 정도만 배출하는 경우 남은 요산이 몸에 축적되어 통풍이 되는 것입니다. 퓨린은 가장 중요한 단백질 중의 하나로 몸의 에너지, 살, 근육을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당히 섭취하여야 하지만 지나치게 섭취하면 통풍이 유발됩니다. 퓨린은 12단계를 거쳐서 통풍을 일으키는 요산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퓨린이 많이 들어있는 맥주는 통풍환자에게 좋지 않습니다. 통풍은 일교차가 심한 봄이나 여름에 통풍이 잘 생깁니다. 일교차가 심해지면 핏속에 녹아 있던 요산이 액체상태에서 몸이 추워지면서 고체상태로 변합니다. 낮에 고농도로 있다가 밤이나 새벽에 체온이 떨어져서 고체상태로 변하면 백혈구가 그걸 잡아먹으면서 염증이 발생합니다.

통풍의 증상과 예방통풍의 증상과 예방
통풍의 증상과 예방

2. 통풍의 증상

통풍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통풍은 아플 痛자와 바람 風자를 쓰는 데 한마디로 바람만 불어도 아픈 병으로 모든 질병 중에 가장 아픈 병으로 질병의 왕이라고 불립니다. 여성이 출산하는 것보다 100배 더 아프다고 합니다. 통풍환자의 90%가 엄지발가락의 뿌리 부분에 통풍이 발생됩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통풍이 발생되는 관절입니다. 요산이 엄지발가락 뿌리 부분에 가장 많이 쌓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중력을 타고 내려갔다가 올라오지 못하고 거기에 축적 및 농축되는 부위가 엄지발가락이고, 엄지발가락은 체중이 가장 많이 실려서 연골 손상이 많이 됩니다. 이때부터 우리 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고 수위의 염증이 발생합니다.

 

최고 수위의 통증이 극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발작이라고 합니다. 발가락을 잘라내고 싶을 정도로 아주 심한 통증이 일어나게 됩니다. 제대로 걷지도 못하여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을 짚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극심한 관절통은 통풍이란 질병의 빙산의 일각입니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요산이 콩팥에 쌓이는 만성신부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경화, 뇌출혈, 심장병, 뇌경색 등 전신적인 질병이 동반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으로 발전합니다. 통풍결절도 발생합니다. 이것은 요산이 관절이나 관절주위에 쌓이게 되는 데 너무 많이 쌓여서 혹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요산이 발가락, 발목뿐 아니라 무릎, 팔꿈치, 손가락 등에 혹처럼 나올 수 있습니다. 통풍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통풍결절이 온몸에 다 생길 수 있습니다.

통풍의 증상과 예방통풍의 증상과 예방
통풍의 증상과 예방

 

3. 통풍의 검사

통풍 검사는 요산 검사를 하는 것으로 혈액으로 검사를 합니다. 건강보험관리공단 검진에서는 요산 검사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설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비용을 지불하는 검사에서는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요산수치는 정상이 3-7mg/dL이고, 7mg/dL 이상이면 고요산혈증이라고 해서 핏속에 요산이 과포화 상태로 떠다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것이 조직에 남게 되면 액체상태의 요산이 고체상태로 고체 요산결정이 만들어지고 그걸 백혈구가 잡아먹으면서 염증이 발생합니다. 요산수치가 7 이상이 되면 고요산혈증이 되어 위험해지는 데 이 수치가 올라갈수록 통풍의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요산수치가 6-7 사이면 정상이고 6 이하이면 몸속에서 요산이 빠져나갑니다. 통풍환자는 약을 복용하여 최소한 6 이하로 치수를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통풍의 치료 및 관리

통풍의 치료와 관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통풍은 완치의 개념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고혈압이나 당뇨병, 고지혈증처럼 관리의 질병입니다. 관리만 잘하면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습니다. 복약지침을 잘 지키고 정기 혈액검사로 요산 수치를 낮게 잘 유지하면 관절염이 재발하는 것도 방지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만성신부전, 동맥경화,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통풍환자가 약을 제대로 먹지 않고 음주를 많이 한다면 100% 통풍이 재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요산수치를 체크하려면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혈액검사에서 요산이 높다는 결과를 받았다면 통풍을 의심해야 합니다. 발가락이 심하게 아픈 적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고 그런 적이 없었다면 일단 통풍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런 경우는 무증상 고요산혈증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요산 수치의 증가에 따라 통풍에 걸릴 확률이 점점 증가하므로 체중감량, 금주와 운동을 열심히 하고 물을 많이 마셔서 요산 수치를 낮춰야 합니다.

 

통풍은 음식관리가 중요합니다. 음식 중에 통풍의 원인이 되는 퓨린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피하여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치맥을 좋아하는 데 맥주와 치킨을 함께 먹으면 통풍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맥주의 알코올과 호프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인 퓨린이 요산의 수치를 올립니다. 치킨도 껍질이나 살에 퓨린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게다가 튀긴 음식을 먹으면 지방까지 같이 올라가서 피 속의 요산농도가 갑자기 급상승하게 되어 통풍의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모든 술에는 알코올이 있어서 요산 수치를 상승시킵니다. 특히 맥주에는 주 성분인 호프에 퓨린성분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맥주를 많이 마시면 체내에 요산이 갑자기 증가되면서 통풍이 더 잘 발생합니다. 통풍으로 진단된 환자나 통풍의 가족력이 있고 비만한 사람에게 더 위험한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치맥을 먹으면 통풍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가족력도 없고 마른 사람이 치맥을 먹으면 통풍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와 간과 내장 등에 퓨린이 많이 들어 있어서 많이 먹으면 통풍을 유발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육류 외 청어, 고등어, 정어리, 꽁치 등 등 푸른 생선, 새우, 바닷가재 등이 통풍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런 음식에는 퓨린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통풍에 좋은 음식은 쌀, 보리, 메밀 등의 곡류와 감자, 고구마, 우유 등의 유제품, 계란, 채소, 김, 미역 등의 해조류, 과일, 콩, 두부 등의 음식이 요산을 많이 상승시키지 않는 음식입니다. 이런 음식 등은 통풍환자가 많이 드셔도 됩니다.

통풍의 증상과 예방통풍의 증상과 예방
통풍의 증상과 예방

 

5. 통풍의 예방

통풍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양말을 신어서 발을 보호하면 통풍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발이 뜨거울 때는 요산이 액체 상태로 되어 있어서 통증이 안 생기는 데 차가울 때는 요산이 고체상태로 되어 염증이 생깁니다. 통풍은 상처 난 관절에 잘 생깁니다. 연골에 상처가 나면 요산이 잘 생깁니다. 축구 등 발을 많이 쓰는 운동을 하면 엄지발가락에 손상을 주어 요산이 쌓여서 통풍이 발생됩니다. 그러므로 발에 무리가 되지 않는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등을 권합니다.

 

 

통풍은 남자의 병입니다. 남성에게서 95% 이상 발생되고 여성은 매우 적습니다. 여성은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이 난소에서 배출되는 데 에스트로겐은 몸에서 요산 배출을 강력하게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게는 에스트로겐 때문에 통풍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폐경기가 시작되면 에스트로젠이 생산되지 않으므로 통풍 발생률이 남자와 같아집니다. 그러므로 60대-70대 여성도 통풍에 대한 주의를 하여야 합니다.

통풍의 증상과 예방통풍의 증상과 예방
통풍의 증상과 예방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걷기운동  (0) 2023.08.29
면역력 증강  (0) 2023.08.28
췌장암 증상과 치료  (0) 2023.08.27
류머티즘 관절염 증상과 예방  (0) 2023.08.26
당뇨병 증상과 예방  (0) 2023.08.2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