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의 증상과 예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 전기는 당뇨병으로 약물의 투여가 필요한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우리 몸의 인슐린 저항성 즉 혈당을 조절하는 능력이 악화되어서 인슐린이 적절한 역할을 잘 못하여 혈당이 정상보다 높은 질병을 말합니다.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당뇨병 전기에 당뇨병이 진단되면 당뇨병 초기가 됩니다. 즉 전기는 당뇨병이 아니고 초기가 당뇨병입니다. 당뇨병 전기는 약물치료가 필요한 단계가 아니지만 당뇨병 초기에는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당뇨병 전기에서 당뇨병으로 넘어가기 전까지 특별한 단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당뇨병 전기는 공복혈당이 높은 공복혈당 장애, 식후 혈당이 높은 내당증 장애로 분류됩니다.
당뇨병 전기는 당뇨병 약을 투약할 단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정상상태는 아닙니다.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 평생 진행되고 그에 따른 합병증 등으로 고통을 받는 질환입니다.
당뇨병 전기와 당뇨병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 때문입니다. 합병증은 당뇨병에서 가장 무서운 것입니다. 똑같이 혈당이 높은 상태인 당뇨병 전기와 당뇨병은 둘 다 혈당이 어느 정도 수치를 넘어가면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이 진행됩니다. 시력에 이상이 생기는 당뇨병 망막증이 먼저 발병합니다. 그 망막증이 생기는 단계부터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합병증이 생길 단계는 아니지만 혈당이 높은 단계를 당뇨병 전기라고 합니다.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어서 신장투석을 받거나 시력상실을 경험하고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같이 주요 합병증이 생겼을 경우 유전될 가능성 높습니다.
당뇨병 전기를 진단하는 기준은 혈당의 수치입니다. 보통 공복혈당검사와 당화혈색소 검사로 당뇨병을 진단합니다. 우리 몸의 피를 붉게 보여주고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이 혈색소인데 혈액 안에 당분이 많은 경우 당화혈색소가 됩니다. 혈색소의 평균 수명이 3개월입니다. 몸에서 당화색소의 퍼센트를 구하면 대략 우리 몸의 최근 3개월의 평균 당 수치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기준으로 당뇨병을 판단합니다.
당뇨병과 식습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밥, 빵, 국수 등 탄수화물을 좋아하고 단거를 좋아하면 당뇨병을 걱정해야 합니다. 식습관은 매우 중요합니다. 불규칙적 식사 특히 지나친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는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켜 혈당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과일에도 과당이라는 혈당을 상승시키는 물질이 있습니다. 당뇨병은 당분이 필요한 뇌나 근육, 간, 심장 등으로 당분이 못 가는 병입니다. 혈액 안에 당분이 많다고 「당혈병」이라고도 부릅니다. 뇌로 당분이 못 가게 되면 당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탄수화물이나 과일 등을 자꾸 먹게 되는 것입니다. 식습관 교정을 통해서 당뇨병 전기를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 전기는 약물을 먹지 않는다고 해서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생활습관교정을 해야 합니다.
당뇨병 검사와 수치에서 가장 많이 검사하는 것은 공복혈당검사입니다. 공복혈당이란 8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을 했을 때 정상은 100mg 이하로 나와야 하고 100 이상이 되면 당뇨병 전기가 됩니다. 126 이상이면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그 외에도 식후 2시간 검사가 있습니다. 정상은 140을 넘지 않습니다. 200 이상이면 당뇨병이 의심됩니다. 당화혈색소 검사에서 정상은 5.7% 미만, 6.5% 이상이면 당뇨병입니다. 5.7에서 6.5 사이는 당뇨병 전기가 됩니다.
당뇨병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당뇨병 전기에서 다뇨다식을 느낄 수는 없습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당뇨병 예방 방법입니다. 당뇨병약은 평생 복용하여야 합니다. 약물 복용 시 몸에 저항성이 생기거나 스스로 당을 조절할 능력이 없어진다는 말들이 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적절할 때 당뇨병 약 투여가 인슐린 기능을 도와서 당뇨병의 진행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기적인 검사를 하고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있는 식사, 야식금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 금지, 스낵이나 믹스커피에도 당분이 많으므로 적게 먹어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은 인슐린을 도와서 혈당을 유지하게 합니다. 이틀이상 운동을 거르지 않아야 합니다.
이상으로 당뇨병 증상과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올바른 걷기운동 (0) | 2023.08.29 |
---|---|
면역력 증강 (0) | 2023.08.28 |
췌장암 증상과 치료 (0) | 2023.08.27 |
통풍의 증상과 예방 (0) | 2023.08.27 |
류머티즘 관절염 증상과 예방 (0) | 202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