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정보

by 드림세르파 2024. 1. 17. 13:18

본문

극단적인 선택을  막게 하는 자살 예방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랑하는 우리 가족, 친구, 동료를 떠나보내는 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삶의 아픔입니다. 일상에 지쳐 스스로의 삶을 놓기 전, 조금 더 빨리 이웃의 목소리에 귀를 열고 말을 걸며 다가서려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최근 유명 배우가 극단적 선택을 하여 충격을 준 바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38개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벗기 위하여 나와 이웃을 지키기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1. 보편적 자살 예방

보편적 자살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 자살 예방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함에도, 그동안 관련 논의가 부족하고 자살을 일반적인 대화 주제로 꺼내기 어려운 사회분위기가 원인이었습니다. 자살 사망자와 유가족에 대한 편견도 상당하고 코로나19 이후 사회 경제적 주변부로 밀려나는 계층이 증가해 자살 예방 사각지대가 넓어졌습니다.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 도시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여성, 외국인 노동자, 청소년 등의 자살률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이라 여기며 무관심 속에 방치된 것이 원인입니다. 중증 정신질환자의 퇴원 후 1개월 내 자살률이 높습니다. 병동에서 지낼 때는 증상이 호전되면서 현실 세계를 접한 자신감을 얻지만, 퇴원 후 사회 적응에 실패하여 그렇습니다. 지역사회의 보편적 돌봄 체계가 부족한 것도 원인입니다.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신과 타인을 돌보는 방법을 익힌 사람이 많아질수록 사회적 돌봄이 더욱 촘촘해질 것입니다. 정신건강 상담과 치료 접근성은 물론이고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서 우울증이나 자살사고에 대하여 조기에 개입해 건강을 되찾도록 치료해야 합니다.

 

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2. 자살 예방 상담번호 109번 통합

 

자살 예방 상담번호 109번 통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분산 운영되었던 자살예방 상담번호가 109번으로 통합되고 자살 예방 의무교육을 본격적으로 시행합니다. 이미 번호를 통합한 미국이나 캐나다는 흩어진 인력과 시스템을 하나로 모아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투입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자살 예방을 위해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일은 일상 속에서 서로 돌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명 지킴이 활동은 평범한 사람들이 주변 이웃에 관심을 두고 서로 안부를 물으면서 살아가는 것이 가장 확실한 자살 예방 활동입니다.

 

3. 자살 예방 활동

자살 예방 활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미디어 협력 및 관련 사건보도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생명존중문화조성 캠페인을 실시합니다. 예방 프로그램을 인증하고 민관 협력 예방 사업과 지역 예방 사업을 지원합니다. 응급실 기반 극단적 선택 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고, 지역맞춤형 예방사업과 상담전화를 운영하여 극단적 선택을 예방합니다.

 

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자살예방 정책에 대해 알아보기

4. 사후관리

 

사후관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동료지원 활동가 양성 및 관리사업, 자조모임 활성화 사업, 유족 치료비 지원 사업, 심리부검, 면담사업, 사후대응 체계 구축 및 운영을 실시합니다. 우리나라의 자살비율은 인구 10만 명 당 22.6명으로 1위이고, 2위는 리투아니아 18.5명, 슬로베니아 15.7명, 일본 15.4명, 미국 14.1명, 프랑스 12.3명, 오스트리아 11명, 스위스 10.6명, 독일 9.7명, 슬로바키아 6.6명, 콜롬비아 5.6명, 그리스 3.9명 순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