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으로 들어가는 신경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인 수근관(손목터널)에 눌려 압박을 받아 손 저림, 감각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중년 이후의 여성, 비만,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임신 중에 이 증후군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서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손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 미용사, 피부관리사,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는 직장인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엄지와 234손가락 일부가 저립니다. 새끼손가락에는 저린 증상이 없습니다. 주로 야간에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손가락이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습니다. 물건을 들다가 자주 떨어뜨리거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굳거나 경련이 일어납니다. 팔을 올렸을 때 팔목에서 통증이 발생하고, 팔, 어깨, 목까지 통증이 발생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경타진검사로 정중 신경이 지나가는 손목의 신경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정중신경의 지배 영역에 이상 감각이나 통증이 유발하는지 검사합니다.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여 손목을 약 1분 동안 심하게 꺾었을 때, 정중신경의 지배 영역에 통증과 이상 감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는지 검사합니다. 엄지손가락 밑부분의 불룩한 부분에서 근전도의 이상이 있는지, 손목에서 신경 전달 속도의 지연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에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이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가볍고 근육 위축이 없는 일부 환자에게 가능하고 소염진통제, 보조기나 부목,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정중 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잘라주는 것으로 수술시간은 30분 정도입니다. 수술 대상은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지속적이거나 점진적인 신경장애, 운동 기능의 약화를 경험하는 환자, 통증이 심해지거나 약해지는 증상이 동반되는 환자, 다른 원인에 의한 압박(류머티즘 관절염 등)을 겪는 환자, 손목 손상 후 발생한 급성 증상 등이 있는 환자에게 수술치료를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 도중 수시로 손목을 천천히 돌려주거나 털기, 깍지 낀 채 앞으로 쭉 펴는 등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손목 부상을 예방하고 피로를 풀어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손목 통증을 느끼거나 손가락 끝에서 찌릿한 느낌을 받았다면 동작을 멈추고 잠시 휴식을 취하는 등의 습관으로 손목을 보호합니다.
말초신경근육질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6 |
---|---|
다낭성난소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5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2 |
노로바이러스 장염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1 |
만성콩팥병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