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근육질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몸의 말초신경과 근육은 대뇌의 명령에 따라 어떤 행동을 취하거나 감각을 대뇌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말초신경과 근육에 이상이 생기면 감각이 떨어지고 이상한 감각을 느끼거나 근육의 힘이 빠지고 위축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말초신경근육질환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경근육질환은 근육수축 조절의 기능적, 구조적 장애로 근력 약화, 지구력 감소, 근위축, 관절구축, 자세이상이나 골격제 변형 등이 있습니다. 말초신경염은 신경이 손상되는 여러 가지 원인 중에 염증에 의한 것을 말합니다. 염증이란 체내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몸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에 대처하기 위해 만드는 일종의 공사장인데 대개 외부의 손상이나 균의 침입이 있을 때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쟁터로 비유되기도 합니다.
염증이 손상에 의하여 생길 경우에는 외상성 말초신경염, 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일 때는 감염성 말초신경염, 염증세포 오류로 자기 신경을 공격할 경우에는 자가면역성 말초신경염이라고 부릅니다. 때로는 몸 안에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납 같은 독성분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말초신경염이 생기며, 성인에서 가장 흔한 말초신경염의 원인은 당뇨병의 합병증입니다.
말초신경근육질환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신경근육질환은 운동 단위의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운동단위는 척수 전각세포, 말초신경, 신경근접합부 및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경근육질환은 운동단위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질병이 있으며 주요 질환으로 말초신경병증, 근육병, 중증근무력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척수성 근위축증 등이 있습니다.
말초신경병증에는 감각저하, 저린 감, 시리고 화끈거리는 이상감각,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근육의 힘이 약해져 물건을 쥐는 힘이 떨어지고 걷기가 힘들어지며 심한 경우 근육이 위축되기도 합니다. 점진적인 근력 약화, 근육 위축, 근육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근육 질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율신경계가 침범된 경우에는 손발에 땀이 나지 않고 밝은 곳에서 눈이 부시거나 어지러운 등의 전신적인 이상 증상이 동반됩니다.
말초신경근육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말초신경병증의 증상은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같은 질병에서도 환자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증상만으로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세한 신경학적 진찰과 혈액검사, 전기진단검사를 통해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을 찾아내고 치료합니다. 신경근육질환의 호흡재활은 상기도 감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호흡증상을 완화시켜 최선의 기능상태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호흡관리에는 초기 호흡군 강화운동, 객담 배출법, 공기 누적 운동이 있으며 호흡 부전이 진행될 경우 비침습적 인공호흡 및 기관루 시술을 통한 인공호흡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가동 범위를 늘릴 수 있는 신장 운동은 근육 구축 방지를 위하여 중요한 운동으로 병원에서 시행하는 물리치료를 합니다. 신경병 통증은 일반적인 치료제로는 조절되지 않습니다. 통증의 원인이 신경계의 과흥분과 내인성 통증 억제 경로의 소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신경의 과흥분을 억제하거나 내인성 통증억제 경로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저용량의 항경련제나 항우울제, 아편양 진통제를 사용하게 되며, 마취제 성분이 포함된 젤이나 패치를 붙이기도 합니다. 약물을 선택할 때는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 우울증 등이 있는지 혹은 약물투여에 의해 악화될 수 있는 증상이 있는지 잘 판단하여 약물을 결정합니다.
말초신경근육질환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말초신경에 악영향을 주는 술과 담배를 금해야 하며, 당뇨병 환자는 혈당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손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발생하는 손목터널증후군의 예방을 위해서는 습관적으로 손목에 무리를 주거나 꺾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시로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해주어야 합니다. 원인이 당뇨 등 기저 질환으로 판명된 경우, 당뇨 조절이 중요하며, 감각저하, 근위악 때문에 낙상 등이 일어나거나 상해를 입지 않도록 몸을 보호하고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말초신경근육질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방광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9 |
---|---|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8 |
다낭성난소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5 |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3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