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3. 12. 31. 13:48

본문

복부대동맥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에서 나온 가장 큰 동맥인 흉부 대동맥을 거쳐 복부대동맥이 되는데, 이 부위에 생기는 동맥류를 복부대동맥류라고 합니다. 혈관질환은 크게 동맥경화 등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혈관이 늘어나거나, 늘어나서 터지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50세 이하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65~70세 정도가 많이 발생하고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관상동맥, 경동맥, 말초혈관의 죽상동맥 경화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복부대동맥류의 원인

복부대동맥류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복부대동맥류의 원인은 노화, 동맥경화, 유전적 요인, 고혈압, 외상, 매독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며,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6배 더 발생합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7배 이상 높습니다. 1차 직계가족에게 복부대동맥류가 있으면 복부대동맥류가 나타날 가능성이 12~19% 정도입니다. 이미 발견된 복부대동맥류의 경우, 기존의 복부대동맥류의 직경이 클수록, 흡연자일수록 질환이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복부대동맥류의 증상

복부대동맥류의 증상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복부, 배부, 측부의 통증, 복부 덩어리(종괴), 복부 팽만감, 복부의 박동감 등이 느껴지면 대동맥류를 의심합니다. 이러한 통증은 서서히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모호하고 둔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3. 복부대동맥류의 진단 및 치료

복부대동맥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복부 촬영으로 대동맥류의 간접적 증거가 관찰됩니다. 대동맥의 곡선형 석회화가 관찰되고, 척추 주위의 연부 조직 종괴가 관찰됩니다. 복부 전후 촬영과 측면 촬영에서 모두 대동맥류가 관찰됩니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대동맥류를 발견하고 대동맥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매우 정확성이 높습니다. 복부단층촬영을 하는데 복강 내 해부학적 정보와 신장 및 내장 분지 동맥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대동맥류 치료는 늘어난 대동맥을 제거한 후 인조혈관으로 교체하는 인조혈관 치환술, 인조혈관을 대동맥류 내부에 끼워 넣는 경피적 스텐트 삽입술, 대동맥에서 머리로 가는 혈관을 침범한 경우 스텐트 삽입술과 수술적 치료를 함께 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동맥류 파열은 수술로 교정해야 합니다. 복부대동맥류 파열의 사망률은 80~90% 정도입니다. 복부대동맥류 수술 사망률은 50% 정도입니다. 수술 전후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약 25% 정도이고 병원 도착 전이나 응급실에서 심정지가 발생하면 수술을 보류합니다. 무증상 대동맥류 수술은 대동맥류 파열의 위험성, 다른 원인 및 기저 질환으로 인한 수술의 위험성, 여명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4. 복부대동맥류의 예방

 

복부대동맥류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나이가 60세 이상이고, 흡연, 복부대동맥류의 가족력이 있으면 복부초음파 혹은 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일단 복부대동맥류로 진단받은 환자들은 복부대동맥류의 크기가 작더라도 전문의와 상의하여 6개월마다 정기 검사를 시행합니다. 술, 담배를 금하고 체중조절,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